정부, 결핵치료 전반 신규 수가 도입 검토 착수…현재 교육·모니터링 별도 수가 없어

2018 결핵예방 ㄱㅎ 영상광고 중 일부. 질병관리본부 제공.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결핵교육상담료 등 결핵치료 전반에 대한 신규 수가 도입 검토에 착수한다.

질병관리본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결핵환자관리 행위수가산정 모형개발’ 연구 사업을 최근 공고했다.

현재 정부는 결핵 조기 퇴치를 위해 결핵예방관리강화대책을 지난해 마련, 집중 추진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결핵 치료에 있어 가장 걸림돌인 꾸준한 치료를 위해 정부는 환자 발견 이후 완치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에 걸쳐 새로운 지불보상체계를 마련해 치료성공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그 가운데 가장 먼저 대두되는 지점은 다름 아닌 결핵 교육 상담 부분이다. 결핵은 치료기간이 길어(6개월~20개월) 항결핵제들을 불규칙하게 복용하거나 도중에 복용을 중단하기 쉬워 치료가 끝날때까지 꾸준히 복용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환자가 의료기관에 내원하면 꾸준한 항결핵제 복용을 독려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모니터링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그럼에도 불구, 아직까지 교육과 모니터링 항목에 대한 별도 수가 책정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연구 사업은 국내외 문헌고찰 및 국내 결핵·잠복결핵감염 관리 행위를 분석하고 교육상담료 등 결핵환자 및 잠복결핵감염자 관리 수가 신설 근거 마련을 모색한다.

궁극적으로는 신설 수가 모형 도입을 통해 결핵 치료성공률을 올리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치료성공률은 82% 수준이며, 결핵 환자의 약 70%는 의료기관을 기반으로 치료가 이뤄지고 있으므로 일선 의료기관의 결핵 환자 관리 환경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종합대책마련 당시부터 치료성공 제고를 위한 의료기관 기반의 지불보상체계 신설에 대한 필요성이 이미 대두됐다”면서 “교육상담료에 한정짓지 않고, 이번 연구를 통해 전반적인 결핵환자관리 행위 관련 구체적인 수가 모형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