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KHC컨퍼런스서 효율적 진료 가능하게 할 시대적 흐름 vs 의료가치 훼손 논쟁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코로나19 발생 이후 포스트 코로나 의료체계에서 화두가 될 원격의료 도입을 놓고 효율적 진료 가능과 의료가치 훼손 우려가 크다는 의견이 서로 상충하고 있다.

대한병원협회(이하 병협, 회장 정영호)가 지난 6일 주최한 KHC 온라인 컨퍼런스가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됐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원격의료 도입-실시를 놓고 논쟁이 이어졌다.

강대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복합의료기술센터 소장(사진 가운데)은 “텔레메디신(원격의료)는 피할 수 없는 미래라고 본다”면서 “제한적 의료자원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원격의료를 시행을 것을 두고 전문가들이 합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군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웅복합의료기술센터 소장(사진 왼쪽 두번째)은 “개개인 집단의 이익을 뒤로하고 온라인이라도 공공의 가치를 창출하는데 쓰여야 한다”면서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원력의료 57%가 개원가에서 이뤄지는 등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방안과 다르게 갔는데 환자들과 국민들이 윈윈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 도입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반면 단순히 환자만족도가 높다는 이유에서만 원격의료 도입을 시도해서는 안된다는 견해도 나왔다.

오히려 의료가치를 훼손하고 진료 불확실성 등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안덕선 대한의사협회 정책연구소장(사진 맨 오른쪽)은 단순 원격의료를 시도한다고 해서 효율적 진료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일례로 전화진료 및 화상진료를 실시한다고 해서도 예약경쟁이 사라지는 것은 아닐뿐더러, 대면진료가 실시되지 않음으로써 진료의 불확실성이 커진다는게 안 소장의 설명이다.

안덕선 소장은 “특히 우리나라는 좋지 않은 의료결과를 놓고 형사처분이 이뤄지는 나라임을 고려할 때 이런 원격의료의 불확실성은 상당한 부담이 될 수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단순 환자 만족도로 도입하자고 하기에는 우려되는 점이 많다”면서 “이 같은 의료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방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