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주 교수, 스페인 독감 대유행 참고 시 올해 가을 2차 대유행 가능성 제시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병원 감염병 구분 투트랙 운영 필요성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코로나19 감소세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올해 가을 이후 찾아올 2차 대유행에 대비할 것을 강조하고 나섰다.

특히 감염병 대유행 시 의료수용한도 내에서 환자를 발생시키는 완화 전력을 펴기 위해서는,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병원 구조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이 같은 내용은 6일 대한병원협회가 주최한 코로나19 관련 KHC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나왔다.

이날 발표에 나선 고려대학교 김우주 감염내과 교수는 올 가을 다가올 코로나 2차 대유행을 경고하고 나섰다.

김 교수는 “과거 스페인 독감 등 대유행 등의 사례를 참고할 때, 1~2년간 소규모 유행파의 반복이 연속되는 시나리오와 더불어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로는 올해 봄 첫 유행 이후 가을 또는 겨울에 대규모의 유행이 다가오고 이후 한 차례 이상 소규모 유행이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우주 교수는 향후 코로나19 등 신종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한 총괄전략으로 지속가능한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시스템을 확립할 것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는 감염병 진료 대응 거버넌스 확립과, 국가감염병센터,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병원은 이에 맞춰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경영에 항상 고려해야 하며, 장기적인 신종감염병에 대비하는 진단키트, 치료제, 백신 등 의료대응수단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이왕준 명지병원 이사장(사진)은 2차 코로나19 대유행 등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의료시스템을 강화해야할 것을 강조하는 한편, 이에 맞춘 병원의 구조변화가 불가피함을 밝혔다.

이왕준 이사장은 단기적으로 준비해야할 감염병 대응 의료시스템으로 권역별, 지역별 감염진료역량을 통합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 이사장은 “현재는 질본이 통제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질본은 방역을 중심으로 하는 곳이고 심지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에 방역갈등이 있다”면서 “하물며 진료체계는 권역단위 지역단위에서 지휘하는 컨트롤타워가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단순 자문위원회 수준의 거버넌스인 중앙임상위원회 차원을 넘어서 진료권을 중심으로 환자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자원 역량을 배분하고 통제하는 통합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이 밖의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방안으로 ▲2차 대유행 대비 자원동원 및 환자배치 계획 수립 ▲감염병 수가 개발 보상방안 마련 ▲선별진료소 및 안심외래의 재정비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이 이사장은 밝혔다.

아울러 감염병 진료체계를 3단계 등급으로 나눠 최상위에 100병상 중앙감염병센터를, 권역별 감염병센터로 호남, 영남, 중부에 50병상 센터를 설치할 것과 최하위 등급에서는 외래구축 열성호흡기 외래센터 500병원급 이상, 열성호흡기 전용클리닉1000여개 개원클리닉이 마련돼야 한다고 함께 덧붙였다.

◆ 감염병·비감염병 구역 ‘투트랙’ 운영·중환자 진료역량 강화 필요

이왕준 이사장은 감염병 시대의 병원구조를 모든 구조와 프로세스를 감염병 구역과 비감염병 구역으로 구분하는 투트랙 운영으로 바꿔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외래에 있어서도 출입구와 동선이 다르게 하고 열성호흡기 외래센터를 만들어서 운영해야한다”면서 “중환자실도 감염병 구역을 따로 운영하고 음암격리병상 운영과 인력 장비를 고도화 해 가야하며, 수술실 및 혈관 조영실 등도 투트랙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상설적인 감염병 대응 시스템인 CDRT 운영 훈련을 이왕준 이사장은 함께 강조했다.

또한 사망자 관리를 위한 병원의 중환지 진료역량 강화 및 구조개편도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이왕준 이사장은 밝혔다.

이 이사장은 “병상 및 필요자원 파악을 위한 정확한 예측모형이 필요하다”면서 “또한 2차 대유행에 대비해 효과적인 중환자 이송체계 확립과 중앙 집중식 원격 중환자 치료(Centralized tele-ICU) 모델 개발과 적용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