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 김윤전 교수팀 초기 병태생리 근거 제시…혈관밀도 감소, 근시성 황반변성 유발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최근 근시안의 혈관분석을 통해 근시로 인한 안구길이 증가가 망막병증의 원인으로 확인되면서 근시 망막병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근시안(좌)과 정상안(우)의 황반부 망막혈관 비교 사진

서울아산병원 안과 김윤전 교수팀은 고도근시를 가진 52명과 근시가 없는 52명의 눈 황반부 망막과 맥락막 미세혈관의 특징을 분석해 고도근시안에서 황반부의 망막 혈관밀도가 명확히 감소했음을 확인했고, 이런 변화는 망막두께의 감소 및 안구길이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정상적으로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중심와무혈관영역은 평균적으로 근시안에서 0.39±1.3㎟, 정상 눈에서 0.31±1.0㎟로 근시안에서 더 넓었고, 둘레 또한 근시안에서 더 길게 나타났다. 그리고 황반 중심와주변부의 망막 표층 모세혈관망의 혈관밀도는 근시안에서 52.7%로 정상 눈 54.8%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돼 있었다.

근시안에서 초점이 맺히는 황반 부위의 혈관밀도 감소와 무혈관영역의 변화는 안구길이 증가와 비례했다. 이는 혈관밀도의 감소가 결국 안구길이 증가에 따라 기계적으로 당겨짐으로써 발생하고 근시성 황반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는 고도근시가 있는 눈의 혈관변화를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을 통해 근시안의 병적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안구 길이 증가에 따른 근시 망막병증의 초기 병태생리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미가 크다.

특히 근시에 의한 병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맥락막 두께의 감소는 병적 근시 발생 전 단계에서는 맥락막 모세혈관의 변화와 관련이 크지 않아 모세혈관 보다는 주로 큰 혈관 구조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도근시가 있는 눈은 정상의 눈보다 망막과 시신경이 약한 경우가 많고, 망막박리나 눈의 안쪽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부의 변화로 시력장애가 오는 황반변성의 발생 위험이 더 높다.

망막박리는 망막 신경이 하부에 접하고 있는 망막색소상피로부터 떨어지는 질환으로, 망막 중심부까지 박리가 진행되면 실명에 이를 수 있다. 이렇게 떨어진 망막은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그 기능을 잃게 된다.

김윤전 교수는 “망막박리나 황반변성의 주요 위험인자인 고도근시로 인한 혈관변화 분석을 통해 근시 망막병증의 초기 병태생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 효과적인 근시 망막병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그는 “근시의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안구의 크기가 크고 망막조직이 얇을수록 중심부 혈관변화 및 주변부 망막변성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이러한 변화가 진행하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