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증가 속 필요성 대두, 모바일 앱 서비스 도입 등 활성화 지지부진 ‘사회적 논의’ 필요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택배·배달음식) 집 앞에 두고 벨을 눌러 주세요” “회의는 화상채팅으로 대체 하겠습니다” “요새 홈트와 홈술이 대세죠”

순식간에 확산한 전염병이 촉발한 극도의 공포는 일상을 크게 바꿨다. 출·퇴근 시간이 달라지고 재택근무를 하는 직장인도 늘었다. 소비의 대부분도 온라인쇼핑 등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바야흐로 언택트(untact·비대면) 시대가 도래 하고 있다.

최근 불거진 코로나19 사태로 병원 진료 과정에서도 신종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환자와 의료진의 감염 가능성을 낮추는 비대면 서비스의 도입 및 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확진자의 급증 속 의료진과 환자 및 간병인 등 원내 감염 사례가 속출하며, 각 의료기관에서도 병원 출입자들의 사전 검사와 호흡기·비호흡기 환자의 선별 진료 등 방역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감염병 발생률 증가의 원인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한 국제적 교류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높은 인구밀도에 따른 것으로, 이번 코로나19에서도 드러났지만 감염병의 발생률 증가는 단순히 국내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특히 신종 인플루엔자와 중동호흡기 증후군처럼 국제적인 보건 문제를 야기하며 국내 유입에 대비할 필요성이 커지고 신종 감염병 발생 위험이 상시적으로 잠재하는 만큼, 면역력이 약한 환자와 노약자가 많은 다중이용시설이면서 감염병 방역의 최전선에 있는 의료기관 내 비대면 서비스의 적극적인 도입이 시급히 논의돼야 하는 이유다.

특히 병원 내 비대면 서비스의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인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앱 서비스의 도입 및 이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병원 내에 모바일 앱 기반의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면, 신종 감염병 발생 시 환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 사전 문진부터 전자처방전 발급 및 전송까지 진료 외 모든 절차를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자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하며, 의료진과 수납창구 직원 간의 접촉도 최소화하기에 감염병 확산 위험 방지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미 전국 주요 대형병원의 경우 환자용 앱으로 진료 예약부터 실손보험 간편청구와 전자처방전 약국 전송까지 병원 진료 시 거쳐야 하는 절차를 전면 비대면화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나, 원격진료 등을 반발하는 움직임으로 추가 서비스 도입과 활성화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 있음에도, 환자들은 여전히 수납창구나 키오스크를 이용해야 하는 의무적 동선도 존재한다. 코로나19 등 국내 신종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체계 구축의 주춧돌로서, 병원 내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