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소통 필요, 언론보도량 메르스 때보다 52%증가·대처방안은 23%만
21일 국립중앙의료원·한국헬스컴학회 공동, ‘한국사회의 위기소통 특별 토론회’

[의학신문·일간보사=진주영 기자] 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 우려로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지역사회 ‘심리 방역’이 중요하며 국민의 니즈를 충족시킬 감염병에 대한 대처 정보가 부족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1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과 한국사회의 위기소통' 토론회가 진행됐다.

21일 오후2시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과 한국 사회의 위기소통’ 특별 토론회에서 코로나19의 대응 현황과 과제, 국민위험인식 및 언론보도 소통 등에 대한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개화사에서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방역이 강력하게 시행되야하는 시점에서 정부·의료기관 등 ‘위기 소통’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지역사회 의료기관 및 주민 등이 협력하고 소통해야 할 것”이라고 운을 뗐다.

발제에 나선 김동현 한국역학회 회장은 “코로나19 대응 전략은 ‘피해 최소화’ 대응 방향으로 이행하야 한다”며 “의료기관의 기능을 유지하고, 주민참여형 위기 소통 방식을 만드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동현 회장은 “지역보건과 공공의료 인프라 구축을 통한 건강의 핵심적 가치 구현이 최우선적 국가보건정책이어야 한다”며 공공성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이날 세 번째 발표에 나선 서강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센터 유현재 교수는 최초 확진자 발생 이후 코로나 19 관련 언론과 SNS를 통해 유통된 정보들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일반인' 즉 생활자의 시각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되는 사례들을 유형화해 논의했다.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대한 기여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제언도 내놓았다.

이와 더불어 심리방역팀 설치, 감염보도권고안 개정, 감염 정보 이해력 강화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헬스컴학회 유명순 회장은 “지역사회 확산이 감지되는 시점에서 바이러스 자체를 잡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들의 심리방역을 전면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교수가 제시한 심리방역의 요소는 △우리 사회가 신종 바이러스 위기를 극볼할 수 있다는 집단효능감, △보건당국과 지역사회기관 및 이웃에 대한 사회적 신뢰, △합리적 위험인식, △정부-언론-국민의 효과적인 위험소통, 그리고 △바이러스 리터러시 다.

유교수는 지난 18일 서울대병원 선별진료소를 이용한 사람 154명중 1/3인 60명이 단순 불안감으로 방문, 3차병원 의료체계 혼란 우려를 낳은 사례를 예로 들며 심리방역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정부의 위기 대응팀에 기동성 있는 국민 의견 수렴과 이를 방역 정책에 반영하고, 성숙한 시민행동 조성에 기여할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심리방역팀의 가동도 고려해봐야 한다는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 실시된 설문 조사 결과도 소개됐다.

유 교수는 “두려움이나 공보가 적절함을 인정하고 이 속에서 돌파하고 해결해 나가는 방향으로 생각해 나가야 하다“며 ”일반적 국민 홍보 소통이 아니라 국민들의 위험 인식을 조사하면서 모니터링하는 ‘위기 소통팀’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주영기 교수는 “건강 위기 대응 차원에서 언론에 대한 신뢰가 타 기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며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보도의 전반적인 내용은 과거 신종플루, 메르스 때보다는 개선된 것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주 교수는 “바이러스 자체에 대한 의료 정보, 예방 수칙 및 치료 정보 등 바이러스가 위험해도 문제없이 해결해나갈 수 있다는 효능감을 키울 수 있는 정보들에 대한 뉴스소비자의 갈증이 낮은 신뢰로 나타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날 발표에서는 응답자들의 미충족 정보수요에 대한 자유 응답 결과, 가장 많은 ‘확진자 이동 경로’(98명)을 빼고는 ‘치료방법’(86명), ‘발병원인’(68명), ‘바이러스 특성’(38명), ‘백신개발 현황’(36명) 등 보건의료 전문 정보의 미흡을 지적하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주교수는 “기사 말미에 예방수칙이나 정형화된 바이러스 정보를 붙이는 관행을 정착시키는 것도 사회적 패닉상태를 유발하는 이른바 정보바이러스화 현상을 차단하는 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