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등 확진자 급증 지역 내 음압격리병상 부족 우려 제기
지역의료계, 경증환자 자가격리 대응체계 전환 등 대책 서둘러야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지역 내 음암격리병상 부족 사태가 우려되는 만큼 음압병상이 적은 지역의 경우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의료계에서 제기되고 있다.

지역의료계 관계자들은 현 대응체계에서 최대한 음압격리병상을 확보하려고 노력하되, 지역사회 감염 국면에 접어든 현 상황에서 향후 자가격리를 준비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대구지역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함에 따라 대구시 내 음압격리병실 부족이 기정 사실이라는 게 의료계 관계자들의 의견이다.

실제 중앙사고수습본부 등에 따르면, 현재 대구지역의 음압병상은 국가지정병상과 민간의료기관 병상을 합쳐 54개이며 병실로 따질 경우 33개다.

이에 현재 대구시는 중증환자는 음압병실로, 경증환자는 1인 1실의 일반병실에 입원시키는 방향으로 정책 전환을 요구한 상황이다.

또한 대구시는 현재 포터블음압기(이동형음압기)를 설치해 음압병실을 만들고 있으며, 동시에 확진자 급증 등에 대비해 대응체계 전환을 요구하는 중이다.

타 지역 의료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대구시의 상황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인천지역의 경우 대구와 같은 54개의 음압병상을 확보하고 있다. 서울·경기 지역과 인접하고 있어 대구와는 상황이 다르기는 하나 지역 인구 대비 병상 수를 나누면 대구지역보다 다소 부족하다.

국내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를 격리·치료했던 인천의료원의 조승연 원장은 일간보사·의학신문과의 통화에서 “현재 음압병실을 늘리는 것은 어려워 이동형음압기를 주문했다”면서 “대구처럼 확진자가 급증하게 되면 (민간의료기관까지 따져도) 음압병상이 부족해 타 지역으로 후송하거나 아니면 감당하기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조 원장은 현재 상황에서는 최대한 음압격리병상을 확보하되, 지역사회 확산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폐렴 증상 등이 없는 경증환자의 경우 자가격리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승연 원장은 “이 때 자가격리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하지만 행정력 부족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정부에서 대국민 홍보 등으로 국민의 자가격리 매뉴얼 숙지 차원으로 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양동호 광주광역시의사회장도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따라 음압병상 부족 문제 등을 피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중증환자만 격리조치하고 경증환자의 경우 자가격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양 회장은 그러면서 “(지역사회 감염으로 인한) 대응체계 전환이 이뤄지더라도 선별진료소 운영·읍압병실 확보에 노력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지원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코로나 사태와 상관없이 감염병 등에 대비해 광주지역에 음압병상 확충을 위한 정부의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광주 지역의 음압병상은 국가·민간 합쳐 16개인 상황으로 전국에서 하위권에 속한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게 지역 의료계의 주장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