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향 교수 “다중교육과 동기 부여로 일상 능력 향상…맞춤 프로그램 위한 급여 절실”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인지중재치료’가 부작용 없이 치매 유병률을 낮추고 진행을 늦추는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활성화의 제한이 있어 급여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지향 이대목동병원 신경과 교수<사진>는 의학신문·일간보사와 만난 자리에서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경도인지장애, 노쇠, 파킨슨병, 혈관성인지장애 대상의 비약물·다중치료가 있어야 한다”며 “특히 노쇠, 파킨슨병, 혈관성인지장애의 경우 맞춤형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할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근 다양한 과제나 프로그램을 통해 인지능력 및 일상생활의 전반적인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적인 개입을 총칭하는 인지중재치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좁게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중재치료이고 넓게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에 대한 정신적인 지지와 교육까지 포함하게 된다.

정 교수는 “치매는 다중영역을 중재하면 확실히 인지기능이 호전된다”며 환자에게 식단, 운동, 두뇌·사회활동, 대사 및 혈관위험인자 관리 등을 다중적으로 교육하고 동기부여를 통해 끌고 가는 치료를 계속하면 예방하는데 분명한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뇌는 일상생활의 경험 또는 학습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과거만 해도 성인이 되면 뇌신경 세포는 더 이상 변화하거나 재생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서도 두뇌활동, 사회활동, 육체운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면 새로운 신경세포가 형성돼 뇌세포가 손상됐는데도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의 발현위험도를 낮춘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치매 치료제 개발의 난항도 인지중재치료의 활용을 촉구하는 대목이다.

또한 정상 또는 치매 고위험군에서 인지중재치료를 하면 인지기능저하가 더디게 나타난다는 분명한 근거가 있기 때문에 2017년 신의료기술로도 등재됐다.

실제 인지중재치료에서는 △인지자극 △인지훈련 △인지재활의 요소들이 혼합된 경우가 많다. 치매환자가 인지중재치료의 효과를 유지하는 방법은 우선치료의 일반적인 전략을 가르치고 환자가 일상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이를 적용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우울과 행동장애 극복, 효과 있고 부작용 없지만 '비급여의 벽'"

하지만 정 교수는 “이미 인지장애가 발생한 치매환자의 경우에도 악화를 지연시키고 치매와 동반된 우울 및 행동장애 극복에 있어 인지중재치료는 효과적인 부분이 많고, 부작용도 없지만 여전히 비급여로 남아있어 적극적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대책을 촉구했다.

치매가 됐어도 진행을 늦추기 위해서는 비약물치료가 병행돼야 하는데 사실상 치매 노인을 다루기가 어렵다. 이때 전문가가 개입해 치료적으로 접근해 비약물치료로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인지중재치료가 급여화되면 치매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로 불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큰 혜택을 볼 뿐만 아니라 치매 유병률을 낮추고 진행도 늦출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인터뷰를 마치며 정지향 교수는 “치매의 정도나 개인 환경에 맞는 위험인자의 조절 및 실제적인 목표설정을 통한 적절한 인지중재치료가 필요하다”며 “의학적인 연구나 제도가 이제 막 시작되는 단계로 의학적 그거 마련 및 활성화를 위해 임상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문가 집단의 협업과 체계적인 연구가 향후 지속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