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진료소에 환자 몰리면 정말 필요한 의심자 검사 늦어질수도
위양성‧위음성 포함, 검사 한 번 만으로는 무증상 확진 어려워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례정의가 7일부터 변경, 의사 재량에 따라 검사 의뢰가 가능해지면서 일선 의사들의 책임감도 커졌다. 당장 의사들은 발열 환자들이 선별진료소에 몰리면서 ‘정작 필요한 의심자’에 대한 검사가 늦어질까 우려하고 있다.

지난 6일 대한감염학회 소속 이사진은 서울 서초트라펠리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례 정의에 의사 재량권 부여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하면서도 불필요한 의료자원이 소진되지 않을까 우려를 표했다.

김태형 순천향대 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사례정의가 의사 재량권을 준건 고무적이지만 반대급부로 오히려 좀 더 많이 발생하는 지역서 오는 방역이 소홀해지지 않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임상적 증세는 여타 호흡기 감염병과 유사해 의료진들은 다양한 감염병을 모두 신종 코로나 의심하면서 봐야 하는 상황에 난감해 하고 있다.

김남중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는 “(감기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차이를) 맞추기가 어렵다”면서 “의학저널은 다른병에 비해 상기도 감염이 적다고 써놨는데 거기 실린 사람은 폐렴있는 환자 대상으로 했으며 확진되서 오는 사람은 감기하고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서울대병원에서 (확진자) 4명을 봤는데 감기와 구분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찾아오는 환자들에게 중국 방문 등 엄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무작정 검사 의뢰를 무시하기에도 쉽지 않다. 손장욱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의사 재량권이 늘어나면서 가장 걱정하는 부분 중 하나는 ‘내가 놓치면 어떻게 될까’”라면서 “어쩔 수 없이 과잉진료 될 수밖에 없어 누구나 다 검사해 현장이 마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악의 경우는 선별진료소 내에서 감염이 전파되는 경우다 손장욱 교수는 “선별진료소 대부분이 대학병원, 보건소가 담당하고 있으며 내원객 적은 곳은 5000명, 많게는 2만명이 몰려온다”면서 “대부분 선별진료소가 텐트하나 있고 음압격리실 하나 있는 등 굉장히 열악해 거기서 전파가 될 가능성도 높다”고 우려했다.

경미 증상 코로나 의심된다면 선별진료소보다는 ‘자가격리’ 우선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하필이면 감기가 많이 유행하는 겨울철 와서 감별 진단도 어렵고 찾아서 골라내기 어렵지만 우리가 우려하는 여러 동남아 국가에서 신종 코로나 감염보다는 확률적으로 봤을때 감기 가능성이 더 많다”고 설명했다.

백경란 이사장은 “환자 입장에서는 여행 갔다왔는데 감기 증상 있는데 (신종 코로나가) 맞을까 아닐까 궁금해서 (선별진료소로) 올텐데 검사해서 오늘 아니라 해도 내일 아닌게 아니다”라며 “내가 걱정돼서 검사해서 괜찮네 이 상황이 아니라서 1번 검사하는게 의미가 없고 궁금해서 왔는데 오히려 진짜 환자를 거기서 만나 또 감염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백 이사장은 이어 “사실 환자가 경증이라면 내가 감기로 정말 타이레놀 먹고 지낼 수 있는 상황이라면 선별진료소 찾아 검사하는거 권고하지 않는다”면서 “어차피 내가 좀 걱정된다 하면 보통 우리는 잠복기 14일 정도 잡는데 그때는 위험기간이니 경증이면 진료소 바로 찾지 말고 자가격리 하면서 지내시다가 감기면 2~3일 지나면 좋아질거고 계속 나빠지면 그때가서 검사 받는게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