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역 과정서 발견해 지역 사회 노출 없어…메르스 경험이 만들어낸 긍정적 효과
질병관리본부, 잠복기 환자 막을 순 없어 국민‧의료기관 협조 필수

지난 2015년 발생한 메르스 사태 당시 모습들.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중국 우한 폐렴 환자가 국내에서도 발생한 가운데, 강화된 검역시스템을 통해 지역 사회 노출 없이 환자 대응이 이뤄내는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현재 시스템으로는 잠복기 환자를 막을 순 없어 국민과 일선 의료기관의 적극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질병관리본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중국 우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해외 유입 환자가 확인된 이후, 방역 당국이 후속 대응에 골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방역당국은 중국에서 상황이 발생한 이후부터 다각적인 모니터링과 검역 대응 준비를 한 결과, 검역 과정에서 환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지난 2015년 유증상자가 국내에 입국해 지역사회에서 전파됐던 메르스 사태와 견줘봤을 때 검역 단계에서 감염병 전파 가능성을 차단한, 일종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한 사례라는 것이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메르스 사태가 발생한 후 정부는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기능을 재편하고 발열체크를 위한 열화상카메라 설치 등 검역 단계 대응을 강화, 다시는 안타까운 상황과 맞닥트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다.

이와 관련,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20일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항공편이 국내에 완전히 들어오는것도 아니고 환승과정에서 (환자가) 체크됐다”면서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환자 대응, 검역에선 어려워…의료기관이 ‘게이트키퍼’

다만 감염병이 활성화된 환자는 발견했지만, 아직까지 잠복기 환자를 발견할 수 있는 뾰족한 대책은 없다는 점이 질병관리본부의 고민이다.

증상 없이 지역사회로 돌아간 중국 우한 방문객은 감염병이 활성화될 수 있는 ‘잠복기 환자’의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입국자 모두에게 정밀 검사를 시행할 수도 없고,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서 위음성 반응이 나올 수도 있는 등 검역 단계에서 잠복기 환자를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고 토로했다.

즉,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잠복기 환자’에 대한 대응 최전선은 일선 의료기관이 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감염관리 전문가들은 당장 일선 의료기관이 문진 단계에서 해외 여행 이력을 무조건 물어보는 등 신종 감염병에 대한 대응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결국 최종 게이트키퍼는 일선 의료기관”이라며 “최우선적으로 감염병과 관련된 선별진료를 철저히 진행해 지역사회로의 확대를 막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