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식품기본계획, 고령화-1인가구 등 변화 대응...새 형태 식품 등장 부응

[의학신문·일간보사=이정윤 기자] 정부가 최근 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등 변화하는 식생활 방식과 급변하는 식품산업 기술에 적극 대응하고 사람 중심의 식품안전관리에 나선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이의경)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식품등의 기준 및 규격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향후 5년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1차 관리계획이 식품 중의 비의도적 유해오염물질, 잔류농약, 식품첨가물 등의 기준·규격을 재평가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면, 이번 2차 관리계획은 인구 구조변화, 건강·편의성 중시, 윤리적 소비 추구 등 변화하고 있는 식품 소비 트렌드와 식품산업 기술·유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식품 기준·규격을 마련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해 식품안전관리에 활용할 예정이다.

◇인구구조-환경변화 대비 식품안전관리 강화: 실버인구 및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식품소비패턴 변화에 대웅한다.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증가로 어르신, 환자에게 맞춤형 식품이 개발·공급될 수 있도록 특수의료용도식품을 별도의 식품군으로 개편한다.

당뇨, 신장, 장질환 등 만성질환자의 식사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식사관리용 식품’을 신설하고 영양성분 기준 및 위생기준 마련 외식문화 확산에 따라 식품접객업 업종별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조리식품 안전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기존 식품종류·업종·섭취대상 구분 없이 조리식품에 대해 일반 기준 및 규격만 설정에서 조리식품의 식품종류별·업종별·대상별 맞춤형 기준·규격을 마련한다.

한식, 중식, 양식, 일식, 뷔페, 즉석판매, 카페 등에서의 원료별 조리 및 관리기준, 조리식품·조리기구 등의 미생물 규격 등 마련한다.

수산물, 천일염을 주원료로 사용한 식품 등을 대상으로 식품 중 미세플라스틱 모니터링 및 인체노출평가를 실시한다.

비브리오패혈증 등 유해미생물 및 아크릴아마이드 등 기준이 설정돼 있지 않은 오염물질의 기준 마련 등 추진한다.

재생과 순환을 통한 지속가능한 식품 안전관리를 위해 기구 및 용기·포장의 재활용 기준 등 마련한다.

◇식품산업 구조 변화-기술가속화에 따른 기준 규격 마련: 콩고기, 배양육 등 육류 대체식량으로서 새로운 식품 등이 등장함에 따라 대체단백식품에 대한 건전성 검토 및 안전성 평가기반을 마련한다.

기술 집약적이고 경제성 높은 바이오기술(BT)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소재를 제조하는 추세로 바이오식품첨가물 등의 안전성 평가 기준을 마련한다.

식품산업 전문화·분업화 등 식품원료 소비·유통 형태 변화에 부응한다.

식품 제조·가공의 원료로 사용하는 반가공제품 형태로 수입·유통이 증가함에 따라 식중독균 관리기준 등을 마련한다.

맞벌이, 1인 가구 및 외식업 증가로 단순처리 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위생 및 품질유지 관리에 필요한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 등을 마련한다.

◇기준 규격 재평가-선진화: 환경오염 및 식습관 변화, 새로운 과학적 사실 등에 따라 식품원료, 기능성원료, 식품첨가물, 기구·용기·포장, 유해오염물질, 미생물 등의 기준·규격 재평가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농․축·수산물의 잔류물질 기준 관리 선진화를 위해 축·수산물에도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 Positive List System) 도입 등을 추진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