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신문·일간보사=진주영 기자] 이연희 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교수가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거대 외상과 심리적 요인’을 비교·분석,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2019년 12월호에 발표했다.
![]() |
논문 제목은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에서 외상 관련 통증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로 대조군을 청소년기 초기(12~16세)와 후기(17~19세)로 구분한 후, 안면부에 가해진 거대외상에 대한 영향과 심리적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턱관절장애를 악화시킬 수 있는 심리적 요인이 거대외상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외상과 심리적 상태 약화가 초기 청소년 턱관절장애 환자의 증상 악화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연희 교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기 턱관절장애는 성인에 비해 우울증·학업성취도 저하·안면비대칭·소악증 등 영구적인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진주영 기자 pearlzero21@bosa.co.kr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