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서 복약지도할테니 수가 달라 VS 사실상 약국서 투약 교육 비현실적
1형 당뇨환자, 자가 인슐린 투여 주사 등 현실 담은 교육시스템 마련 요구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의료장비, 의약품이 발달함에 따라 환자들이 자가 투여할 수 있는 ‘주사제’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관리 방안을 놓고 각 직역간 의견을 수렴중이나 복약지도의 주체를 두고 견해차를 드러내고 있다.

현재 ‘자가투여 주사제(자가주사제)’는 대표적으로 인슐린(당뇨병), 호르몬조절(난임), 삭센다(비만) 등이 있는데 사실상 질 관리가 미흡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산하 기구인 중앙약사심의위원회(중앙약심)에서는 최근 ‘자가주사제’ 오남용 문제와 관리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문제는 이번 중앙약심이 식약처에서 자가주사제에 대한 현황 파악 없이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공급자와 수요자간 현격한 입장차만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는 후문이다. 자가주사제에 대한 복약지도 주체를 두고 약사와 환자의 의견이 엇갈린 것.

이날 중앙약심에 참여한 대한약사회에서는 약국에서 자가주사에 대한 복약지도가 가능하며, 관련 수가 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매일 스스로 인슐린 주사를 투여해야하는 ‘1형 당뇨병’ 환자의 입장을 달랐다. 이들은 사실상 현재 약국 시스템상 복약지도가 불가능하다고 내다봤다.

대부분 환자가 문전약국을 이용하는데 바쁜 약사들이 자가주사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며, 사실상 폐쇄적이지 않고 오픈된 약국에서 당뇨병 환자들이 교육을 받기 부담된다는 이유에서다.

중앙약심에 참석한 한국1형당뇨병환우회 김미영 대표는 “1형 당뇨병 환자 전체 의견은 아니지만 주로 약국에서 인슐린을 구매해도 복약지도를 받았다는 것은 들어본 적 없다”라며 “약국에서 인슐린을 구매하는 이유는 원내보다 저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당뇨라는 질병에 대한 선입견이나 자가주사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오픈된 약국에서 투약 교육을 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약국 내에 별도의 교육실이 설치되지 않는 이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대표는 1형 당뇨환자의 경우 1년 365일 자가 인슐린 투여를 하고 있지만 제대로된 관리나 교육에서 케어받지 못하고 방치돼 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 대표는 “보통 1형 당뇨환자는 상급종병에서 인슐린 투여 교육을 받고 퇴원하는데 일상생활에서 이러한 교육만으로 부족한데다 실제 인슐린양 조절 등 실생활에서 필요한 교육과 관리가 활성화돼 있지 않다”라며 “1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상시적이고, 현실적인 교육시스템이 구축돼야한다”고 피력했다.

의사들도 환자들과 비슷한 입장이다. 환자 스스로 주사를 사용해 약제를 투여하는 침습적인 행위는 보다 엄격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게 주된 이유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자가주사제는 전문가인 의료인이 직접하는 행위가 아닌 만큼 지속적이고, 철저한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다”며 “하지만 현재 자가주사에 대한 관리시스템 등 명확한 기준이 없어 피해가 환자에게 돌아갔던 것이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는 “결국 정부 차원에서 만성질환관리제 등처럼 자가주사도 질 관리가 가능하도록 교육료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환자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제대로된 방법으로 약제를 관리하고,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식약처에서는 자가주사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를 통해 향후 중앙약심에서 재차 논의를 이어나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