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례 의원 ‘A형 간염 조개젓 사태 후 생산량 높은 업체부터 선제적 대응했어야’

간염

[의학신문·일간보사=이종태 기자] 올해 오염된 조개젓으로 인한 A형 간염환자가 1만 4000여 명을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식약처와 질병관리본부가 늑장대응과 엇박자 대처가 한몫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김순례 의원은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A형 간염 조개젓 관련 주요 일자별 질본, 식약처 보도자료 현황분석’자료를 공개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김순례 의원에 따르면 올해 4월 28일 질병관리본부는 처음 보도자료를 통해 A형간염 환자 발생을 알렸고, 이후 6월 25일에 조개젓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식약처는 9월 11일, 이미 A형 간염 감염자 수가 전년도 대비 3배가 넘는 약 8000여명이 넘는 상황에서 조개젓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순례 의원은 “6월 질본 보도자료에 식당과 반찬가게 조개젓에서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발표했지만, 이에 대한 식약처의 대처는 전무했다”며 “이 당시 식약처가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주요 조개젓 생산 업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면 A형 간염 감염자의 확산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김순례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조개젓 바이러스 검출 업체 중 2018년 젓갈류 가공식품 생산량 현황’자료에 따르면 3톤 이상 생산 업체가 5곳이나 있었으며, 생산량이 35톤, 40톤에 달하는 업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와 질본의 엇박자 대처도 문제로 드러났다. 질본은 7월 보도자료에서는 A형 간염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산 조개젓을 지목했지만, 식약처의 전수조가 결과 A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국내업체 조개젓 40건 중 30품목이 국내원료인 것으로 밝혀진 것.

김순례 의원은 “식약처 전수조사 없이 질본이 서둘러 발표를 한 바람에 국내산 조개젓에 대한 주의 의식이 떨어져 환자가 확산된 면이 있다”며 “식약처의 늦은 대처와 질본의 부정확한 정보가 환자 확산을 키운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식약처는 조개젓 A형 간염 사태 방지를 위해 지자체와 젓갈류 작업장 개선방안 계획을 적극 논의하고, 생산실적보고 자료 등을 활용한 신속조사 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