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T 중 절반이 연구 편향 위험 높은 것으로 판단

[의학신문·일간보사=김자연 기자] 근래 들어 신약 가속승인 및 관련 대리표지와 환자 효과 사이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유럽에서 승인받은 항암제의 절반은 그 효과가 과장됐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캐나다와 영국 연구진은 유럽에서 2014~2016년에 승인된 항암 신약에 대해 임상시험의 엄밀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BMJ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이에 따르면 동기간 승인된 32개 신약에 관한 54건의 중추적 임상연구 가운데 무작위 대조 시험(RCT)의 비중은 41건(76%)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진이 그 중에서 공개된 39개 연구에 대해 무작위 절차, 소실된 결과 데이터, 결과 측정에 편향 등을 분석한 결과 49%가 디자인이나 분석에 결함으로 편향됐을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편향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 주요 범주는 결과 데이터 소실과 결과 측정이 각각 10건과 7건으로 가장 우려됐다.

아울러 연구의 주평가지표로서 달성하긴 어렵지만 표준적인 전체 생존(OS)을 측정한 비율은 26%에 머물렀고 나머지는 임상적 효과를 비직접적으로 측정한데 그쳐 생명 연장이나 삶의 질 개선을 항상 믿을만하게는 예측하진 못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또한 전체 생존을 주요 종점으로 평가한 시험 중 편향 위험이 높은 것은 20%로 대리적 효과 종점을 평가한 시험 가운데 그 비율 55%에 비해 낮게 나왔다.

뿐만 아니라 EMA 규제당국의 서류와 과학적 문헌 사이에 연구 한계에 대한 인식도 달랐던 것으로 드러나 저널 발표는 그러한 우려를 보다 덜 다룬 것으로 밝혀졌다.

즉, 31%(10개 약)의 경우 규제당국이 편향 위험 평가 항목으로서 임상적 효과의 정도나 부적절한 비교 등 과학적 문헌 발표에 공개되지 않았던 한계를 더욱 많이 발견했다.

결과적으로 편향 위험이 낮은 무작위 대조군 시험이 하나 이상 있고 EMA의 CHMP로부터 별 다른 비판도 없었던 약은 가싸이바, 렌비마, 키트루다, 론서프(Lonsurf, trifluridine/ tipiracil), 엠플리시티, 카보메틱스, 이리노테칸, 라트루보로 손 꼽혔다.

이에 관한 논평에서는 유럽에서 항암 신약 허가 근거에 관한 기준이 낮다는 우려가 제시됐으며 긍정적인 시험 결과만으로 충분치 않고 치료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했는지 근거의 품질 평가까지 확실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