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공 침범·공동성 이경화증 있는 경우 청력 개선 실패 많아…'환자 진단·치료 주요 척도 전망'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진 교수(좌), 영상의학과 배윤정 교수(우)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CT 검사를 통해 이경화증 환자 수술 성공 여부를 미리 예측하는 방안을 개발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송재진 교수, 영상의학과 배윤정 교수 다학제 연구팀은 이경화증 환자의 수술 성공 여부를 컴퓨터 단층촬영(CT) 영상 검사를 통해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2004년부터 2017년까지 등골 수술을 받은 진행성 이경화증 환자 중 17명의 CT 소견과 수술 전후 청력 검사 결과를 분석했다.

CT 검사에서 진행성 이경화증이 침범한 해부학적인 구조물을 위치별로 파악하고, 공동성 이경화증이 존재하는지 여부도 함께 평가했을 때, CT에서 확인되는 침범된 구조물에 따라 수술 후 청력 검사 개선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동성 이경화증이 있을 때, 달팽이관과 정원공, 반고리관에 침범이 있는 경우 수술 후 청력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경화증 환자의 수술 성공 여부의 척도가 되는 공기와 뼈의 전도 차이 개선은 정원공의 침범과 공동성 이경화증이 있는 경우에 특히 나쁜 것으로 밝혀졌다.

공기와 뼈의 전도 차이가 10 dB 이상으로 줄어드는 것을 수술 성공의 척도로 삼았을 때, 정원공의 침범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청력 개선에 실패할 확률이 무려 19배였으며, 공동성 이경화증이 있는 경우에는 실패할 위험성이 약 13배에 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정원공에 침범이 있는 환자는 난원공에서 정원공으로 전달되는 소리의 전도가 약해지는 ‘단일 창 효과’로 인해, 공동성 이경화증 환자는 소리의 전도가 공동성 병변을 통해 빠져나가는 ‘제 3의 창 효과’로 인해, 각각 청력 개선에 방해를 받았다.

이비인후과 송재진 교수는 “정원공에 침범이 있는 환자와 공동성 이경화증 환자에서 수술 성적이 낮은 이유를 심도 있게 고찰해 이경화증이 발병하는 기전을 이해하고 규명하는 데 한 발 더 다가서는 성과를 거뒀다”면서 “이경화증은 서양에서는 흔하지만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견되는 질환인데, 국내 환자의 데이터를 토대로 수술 결과 예측에 성공했기에 보다 의미 깊다”고 밝혔다.

영상의학과 배윤정 교수는 “추후 발전된 고해상도 CT로 이경화증 발병 및 진행 과정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치료 결과까지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면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주요 임상 척도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임상의학저널, Impact factor; 5.688) 최신 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