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아·태 간담췌학회 학술대회 개최…간담췌 영역 기초연구 지원 필요성 등 거론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간담췌 치료 영역에 있어 우리나라는 국제적 가이드라인을 주도할 정도로 술기 분야가 발달해 있으나, 기초적 연구가 부족하고 보험제도도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이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 도움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아시아·태평양 간담췌학회(Asian-Pacific Hepato-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이하 A-PHPBA)는 6일 코엑스에서 학술대회 개최 관련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학회는 한국 주도하에 국제적인 간담췌 영역 치료 가이드라인 제정이 이뤄지고 있음을 밝혔다.

실제 한일공동연구 및 한중공동연구 세션을 비롯해 담낭암 치료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해 세계간담췌학회(IHPBA)와의 공동 심포지움이 진행됐으며, 간이식에서 간최소침습공여간절제 수술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전문가 모임이 국제복강경간수술학회(ILLS)와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장진영 아·태 간담췌학회 학술위원장은 “간이식 분야는 한국이 세계의 주목을 받을 정도로 수준이 높다. 때문에 ILLS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자고 먼저 제안해왔다”고 밝혔다.

술기 발달 비해 기초연구 부족…정부 제도적 지원 필요

우리나라는 간담췌 분야 간절제 수술 등에 관해 임상·술기적으로 상당히 발달해 있는 반면, 기초적인 연구 분야가 부족해 이에 대한 발전 노력과 동시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학회 관계자들은 지적했다.

서경석 조직위원장은 “간질환이 다른나라에 비해 많다보니 임상에서 간절제 수술 횟수도 타국에 비해 많다. 또한 술기에 있어서 손재주를 필요로 하는 수술이기도 하고 인내심이 필요한 수술이기도 하다보니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질과 맞아 재능발휘가 잘 되는 것 같다”면서 “반대로 아쉬운 점은 기초 연구가 부족하다. 이런면에 있어서 성과를 내는 분야에 대해 정부에 보조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료기기·의약품 관련 보험제도 개선·규제 완화해야

학회 관계자들은 보험제도 개선에 대한 필요성도 강조했다. 유희철 부위원장은 “수술을 빨리 끝내도록 도울 수 있는 의료기기들이 의료보험의 혜택을 받는 것에서 제한적이다. 일례로 복강경 간 절제술 시 혈관이나 담도들을 봉합할 때 쓰는 기기들은 2개 이상 사용하지 못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장진영 학술위원장은 “간담췌 질환 중 담도암은 가장 위험한 질환이다. 환자들은 수술 후 소화제를 평생 달고 살아야 하는데, 보험에서 전혀 지원해 주지 않기에 환자들이 스스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학회 관계자들은 서구권과 동아시아의 담낭암 치료 데이터 호환이 어려움을 지적하고 동아시아인들의 치료 데이터에 맞는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성을 함께 제기했다

장진영 학술위원장은 “미국의 담낭암 치료율은 4-60%로 7-90%인 한국 치료율과 차이가 있다. 진단부터 시작해서 병리, 수술 관련까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국의 데이터를 적용해서 치료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질환에 대한 고유의 치료율을 적용한 동아시아인만의 데이터 마련을 위해 현재 일본과 공동 연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