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만성콩팥병 환자 교육·상담 단발성 그쳐…불필요한 의료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
윤일규 의원 주최 ‘환자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 토론회’에서 참석자 제도 개선 한 목소리

[의학신문·일간보사=한윤창 기자] 단발성에 그치고 있는 만성콩팥병 환자 교육·상담 개선은 물론 환자·의사 간 논의로 투석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공유의사결정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공유의사결정제도를 도입할 경우 불필요한 의료비용이 절감돼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윤일규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2회 밖에 받을 수 없는 현행 만성콩팥병 교육·상담을 개선해야 한다는 데 입장을 같이 했다.

윤일규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해외의 경우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상담 환경을 조성해 환자가 투석 방식을 고민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추세인데, 우리나라는 만성콩팥병 환자에 대한 교육 수가가 형식적이고 단발성에 그쳐 실질적인 교육·상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윤 의원은 “만성콩팥병 환자의 교육 및 상담 수가가 개선돼 적절한 시기에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투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면 환자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건강보험 재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제언했다.

김연수 대한신장학회 이사장은 투석 방식 선택 과정에서 만성콩팥병 환자가 중심에 놓이지 못한 한국 의료 현실을 꼬집었다. 김 이사장은 “투석을 준비하기 전까지 환자가 받을 수 있는 교육은 단발적인 1회 교육만 인정되고 있고, 그마저도 단시간에 병의 특징부터, 식이, 운동, 생활, 투석까지 모든 정보를 제공받게 되면서 대부분 교육 내용은 물론 교육을 받은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이로 인해 환자의 절반 가까이가 투석에 대한 오해로 인해 투석 적기를 놓치게 되어 위급한 상황에서 응급투석부터 시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김세중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대한신장학회 일반이사)<사진>가 ‘환자중심 만성콩팥 치료의 질 향상을 위한 현행 교육·상담의 문제점 및 공유의사결정 도입의 필요성’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만성콩팥병은 우리나라에서 환자 1인당 진료비가 가장 높은 질병으로 1년간 10만명의 환자에게 2조원이 투여된다. 성인 9명당 1명이 만성콩팥병을 앓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해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환자가 투석방식을 선택할 때 적절한 교육을 이뤄지는가에 대해 회의적”이라며 “환자 2명 중 1명은 응급투석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환자가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7년 만성콩팥병 교육·상담료가 신설됐지만 김 교수의 의하면 교육 방법, 교육 횟수와 관련해 신장학회에서 제시한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현재 만성콩팥병 환자는 투석 전에 1회, 투석방법 선택 후 1회에 걸쳐 급여가 적용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김 교수는 “응급투석으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이고, 일회성의 불충분한 교육, 일방향적인 교육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신장학회는 환자와 의사가 함께 적합한 투석방법을 선택하는 공유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대내외에 강조하고 있다. 공유 의사 결정의 이점으로는 ▲환자의 알권리와 자기선택권 보장 ▲의료진의 충분한 교육환경 보장 및 의료의 질 향상 ▲불필요한 의료비용 감소 및 국민 건강 증진이 언급되고 있다.

김 교수는 “공유의사결정을 받아들여 응급투석을 방지한다면 급여화로 인한 예상소요재정이 28억원”이라며 “28억원을 투여해서 80억원 넘는 지출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공유의사결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