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1만 7479명 → 2015년 3만 2332명…고관절골절 발생·사망률 고령일수록 증가

[의학신문·일간보사=한윤창 기자] 국내 고관절골절 환자가 10년간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고령층일수록 고관절골절 발생률과 1년 내 사망률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에 의한 고관절골절이 높은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는 점이 밝혀져 고령자에게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내분비내과 홍상모 교수 연구팀은 ‘국내 고관절골절 발생률 및 고관절골절 발생 후 사망률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 이 논문은 대한골다공증학회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정보자료를 바탕으로 고관절골절로 진단받은 50세 이상 환자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관절골절 환자는 2006년 1만7479명에서 2015년 3만2332명으로 1.85배 증가했다.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연령별 인구수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로는 고관절골절 발생률이 2006년 10만 명 당 166.2에서 2015년 190.4로 1.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2015년 고관절골절 남성환자는 9266명이었지만 여성은 2만 3066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2.5배가량 많았다. 하지만 1년 이내의 사망률은 여성은 10만명 당 177.7이지만 남성은 260.3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가량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50~79세까지에서 10년간 고관절골절 환자수가 증가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그 발생률이 감소추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70세 이상 연령부터는 10년간 지속적으로 발생률이 높아졌으며, 90세 이상에서는 발생률이 1.68배로 가장 높게 상승했다.

고관절골절 발생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2006년 1000명당 206.6명에서 2015년 201.4명으로 약간 감소했다. 연구진은 사망자는 2006년 3612명에서 2015년 6511명으로 늘었지만 50대 이상 인구의 증가폭과 비교하면 감소한 수치로 분석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여성의 사망률은 10% 감소한 반면 남성의 사망률은 오히려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골절 발생률과 사망률 모두 나이가 많아질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5년 90세 이상의 10만 명 당 고관절골절 발생률은 2061.7로, 50대의 25.9보다 무려 80배 높았다. 사망률 역시 50대는 1000명당 73.8명이었지만, 80세 이상에서는 274.2명으로 3.7배 높아졌다.

홍상모 교수는 “이번 연구로 10년간 고관절골절 환자가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고관절골절이 발생하면 1년 이내에 환자 중 20%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고령화 인구의 증가는 고관절골절 증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고 우리나라는 세계 모든 국가 중에서 가장 고령화속도가 빠른 만큼 국내 고령인구의 고관절골절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