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의권 수호 위해 총력 투쟁 한 목소리…대정부 협상 요구도
전국의사 대표자대회, 투쟁 방법 및 일정 결론 못내…집행부에 명확한 투쟁 로드맵 주문

350여명의 의사 대표자들은 18일 오후 2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대정부 투쟁 대책회의를 갖고 최선의 진료를 위한 근본적 의료개혁 쟁취를 위해 강력한 투쟁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았다.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전국의사 대표자들이 정부의 불합리한 의료정책에 강하게 반발하며, 총파업 등 대정부 투쟁에 결속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하지만 대한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이 제안한 ‘전국의사 총파업’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리지 못한채 행사를 마쳐 의료계 내부적으로 의견조율에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당초 '전국의사 대표자대회'에서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됐던 '전국의사 총파업' 실행 여부에 대해서는 사실상 구체적인 논의조차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의협 의료개혁쟁취투쟁위원회는 18일 오후 2시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최선의 진료를 위한 근본적 의료개혁 쟁취를 위해 ‘전국의사 대표자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전국에서 모인 350여명의 대표자들은 의료계를 패싱한 정부의 각종 의료정책을 타개하기 위해 투쟁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이날 대표자들은 의료계의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위해선 최대집 집행부가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해야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우선 강동구의사회 이동승 회장은 “국민을 속이고 있는 정부의 행태를 그냥 두고만 봐서는 절대로 안 된다”며 “전체 의사들의 단결된 힘으로 정부의 위선을 만천하에 드러내고 국민건강과 의사의 가치를 수호하기 위해 총력 투쟁을 선포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자의사들도 정부가 의료계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의협 의쟁투와 함께 무너진 의료와 의권을 바로잡는데 앞장 서겠다는 방침이다.

한국여자의사회 이향애 회장은 “대다수 의사들이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 현재 정부가 의료계의 요구를 무작정 외면한다면 의사들도 분연히 일어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젊은 의사들은 선배 의사들이 투쟁을 제대로 이끌어달라고 요청했다. 선배들이 명확한 로드맵 제시도 없이 총파업 등에서 전공의 탓만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이승우 회장은 “전공의들은 분명 언제든지 총파업 등 대정부 투쟁에 동참할 의지가 있다고 밝혔다”며 “하지만 선배들은 의료계 투쟁에 있어 전공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명확한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어 그는 “기형적인 의료체계에서 묵묵히 희생을 감내하며 수련 받는 전공의들은 앞으로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의사로서 의료변혁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것”이라며 “의료계 전 직역이 대동단결해 최선의 진료를 위한 의료개혁에 행동으로 동참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일부 대표자들은 투쟁과 별개로 정부와의 협상을 요구하기도 했다.

전라북도의사회 백진현 회장은 “최근 정부는 의료계와 상의 없이 원격의료를 추진하고, 저수가, 저부담, 저보장이 적정수가 적정부담, 적정보장이 돼야한다던 약속도 허언이 되고 말았다”며 “의정협의체를 통해 의협에서 제시하는 근본적인 의료개혁을 위한 정책에 대해 우선순위를 정해 논의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밖에 의협 김인호 고문은 일부 대표자들이 최대집 집행부의 회무를 지적하며, 의쟁투의 해체를 요구한 것에 대해 역으로 비판했다.

의협 김인호 고문은 “최대집 회장이 투옥을 각오하고 투쟁의 전선에 나선다고 했다. 이런 지도자는 앞으로 만나지 못할 수 있다. 믿어야한다”며 “의사회원들의 불만이 팽배해질만큼 투쟁의 명분이 쌓였다. 이런 기회는 자주 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많은 참여로 마지막 전투를 하자”고 밝혔다.

한편 이날 대표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생명을 다룬다는 이유로 의사들은 교도소 담장 위를 거니는 잠재적 범죄자가 됐다”며 “살인적인 근무 중에 동료와 후배가 숨을 다해도 누구하나 편들어주지 않는 고립무원의 처지가 됐다”고 토로했다.

이에 따라 대표자들은 △대책없는 문재인 케어 전면 폐기 △진료수가 정상화 △한의사 의과영역 침탈행위 근절 △원격의료 도입 즉각 중단 △의료전달체계 확립 △의료에 대한 국가재정 투입 정상화 △의료분쟁특례법 제정 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