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R&D‧세제 지원과 오픈이노베이션 강조…정부부처, 긍정적 검토 자세로 화답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 단체 사진.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제약‧바이오업계가 5개 부처 장관과의 간담회를 통해 희망적인 메시지를 얻게 됐다. 특히 세제지원 방안 검토와 예측 가능한 R&D 정책 제안 등 업계가 지속적으로 요구했던 항목도 포함돼있어 향후 정부의 정책 설계 행보가 주목된다.

지난 15일 5개 부처 장관‧처장과 업계가 만나 진행된 ‘바이오헬스 혁신 민관 공동 간담회’는 연구개발 (R&D) 지원 확대 등 바이오헬스 기술 경쟁력 확보, 투자 지원 및 세제 지원 등 산업 생태계 혁신, 바이오 인력 등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인허가 단축 등 규제 개선 등의 안건이 논의됐다.

업계, R&D‧세제 지원과 오픈이노베이션 강조 : 간담회에서 제시된 주요 의견을 살펴보면 우선 이정희 유한양행 대표는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벤처와 기업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므로 기업, 대학, 병원 등이 함께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권세창 한미약품 대표는 “임상 3상 등을 위해서는 R&D 지원이 대폭 확대되어야 하고, 생산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므로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조정열 한독약품 대표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 샌드박스 모범사례를 만들어야 하고, 신약개발 연구비를 자체 조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자동차․반도체 산업보다 더 큰 바이오 산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세계시장을 바라보고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의 규제기관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상훈 ABL바이오 대표는 “신약 개발에서 초기 지원보다 임상 2~3상 지원이 더 필요하고, 해외 우수인력을 국내로 유치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신약 개발에서 물질 분석과 검증이 필수적이므로 국내 CRO 등의 역량 제고를 지원해야 하고, 벤처의 인력 수급이 곤란하므로 인력 트레이닝 시스템을 부처가 협력해서 구축해 달라”고 밝혔다.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는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스타트업 활성화가 필요하고, 대학 연구가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관구 큐라티스 대표는 “결핵 백신 등 미충족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R&D 지원 확대와 벤처도 해외 임상 등을 할 수 있도록 대형과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바이오헬스 관련 단체장들도 산업 발전을 위한 의견을 내놓았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제약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업과 벤처 등이 함께 노력하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장은 “데이터 과학자 등 바이오 헬스 인재 양성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밝혔다.

김동연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은 “세계적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초과학 연구 및 세제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요청했다

강석희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장은 “바이오시밀러 등에 대한 세제 지원이 필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식약관 파견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 ‘긍정적으로, 다각도로 검토하겠다’ 화답 : 5개 부처 장관․처장 등은 바이오헬스 기업 대표와 관련 단체장의 건의에 대해 긍정적인 메시지로 화답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명확한 목표 하에 정부와 민간의 역할을 분담해야 하며, 예측 가능한 R&D 정책을 통해 바이오헬스 기업이 우리나라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위해서는 임상·생산역량을 보유한 선도기업과 혁신적 기술을 보유한 창업·벤처기업 등이 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관련 정책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의약품 안전 관리 수준을 세계적 수준에 맞추어 국내에서 개발된 신약이 세계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하고, 신속한 품목 인허가 등에 필요한 부족한 심사인력 확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으며, 임상시험 제도개선도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의 R&D 재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세제지원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바이오헬스 기업의 투자 확대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보겠다”고 전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마무리 발언을 통해 “바이오헬스 산업이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촉진자 역할을 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하여 국민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더욱 노력하겠으며, 전문인력 양성, 백신 자주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등을 위한 정책방안을 강구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