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은 질병이 있거나 다친 사람을 치료하는 기관으로, 전국에 9만1545곳(2017년 기준)이 있다.

의료기관에서는 주업인 질병 등의 치료를 위해 물이나 전기 등 환경재나 에너지를 다량 사용하고 의료폐기물 등 다양한 부산물을 배출한다.

이정윤 편집부국장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의료폐기물 처리비용의 인상률이 가파라지며 의료계나 병원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

지난 1월 대한중소병원협회가 회원사를 대상으로 최근 3년치 의료폐기물 인상률 조사를 보면 수도권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의료폐기물 처리비용 급등’이라는 표현에 공감이 간다.

좀 들어 본다면 서울 A병원은 작년에 수집운반비와 소각비가 모두 Kg당 350원이었으나 금년에는 일반의료폐기물의 경우 500원씩(42%)으로, 조직류는 1000원씩(185%)으로 대폭 인상됐으며 서울 B병원도 지난해 Kg당 수집운반비 1500원-소각비 450원에서 올해 1800원-500원으로 20%, 33%씩 올랐다.

의료폐기물 처리비 부담이 커진 점은 동네의원, 중소병원, 대형병원에 이르기까지 사정이 비슷하다.

의료폐기물 처리비가 급등하는 이유는 뭘까.

의료폐기물 발생량을 처리시설이 뒤따라가지 못한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는 게 의료계의 진단이다.

의료폐기물을 배출하는 의료기관수는 2014년 8.7%, 2015년 8.8%, 2016년 9%, 2017년 9.2%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덩달아 의료폐기물도 2013년 14만4000톤, 2015년 17만3000톤, 2017년 20만7000톤으로 불어났으며 지난해엔 22만6000톤으로 전국 허가용량(22만2000톤)을 이미 넘어섰다.

지금까지 근근히 처리하고 있는 형국인데 내년부터가 더 문제다.

그나마 의료기관은 적고 의료폐기물 소각장은 적은 지방은 나은 형편이지만 병의원이 많고 소각시설이 부족한 수도권의 한마디로 ‘의료폐기물 처리난’이 예고되고 있다.

현재 수도권의 의료기관 수는 서울 2만2043곳, 경기 1만9319곳, 인천 4324것 등 모두 4만5686곳으로 전국 전체(9만1545곳)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소각시설의 처리용량은 5만5000톤(3곳)에 불과해 수도권 발생량(10만1000톤)의 절반에 그치고 있다.

처리용량이 부족하니 경쟁이 심하고 충청이나 영남지역으로 장거리 출장처리를 해야 하니 처리단가가 오를 수 밖에 없는 프레임에 빠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의료폐기물 소각시설이 갖고 있는 최대 소각능력이 24만6000톤인데, 의료폐기물 발생량 증가 추세를 보면 올해 안에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

의료폐기물은 노령화 등 의료여건의 변화로 발생량 증가를 수반하지만 처리시설 증설은 주민 민원 등으로 증설이 난망하다.

처리시설은 증설이 불가하거나 더딘 ‘상수’(常數)로 놓고 의료폐기물 해결책은 정부나 의료계의 '발생량 줄이기 행보'라는 ‘변수’(變數)에서 찾아야 한다.

환경부가 소각시설 증설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되겠지만 의료폐기물 대상 축소나 지정폐기물 소각장에서의 의료폐기물 소각 허용, 대형병원 내 멸균분쇄시설 확대 등 다양한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의료계나 병원계도 '의료폐기물 줄이기'를 통해 발생량을 줄여 나가는 노력이 발등의 불이 된 처리비 급등을 제동하는 첫걸음임을 인식해야 한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