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억원 투입해 '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실증' 사업 추진
현장 발생 생체신호 수집해 응급진단·처치에 활용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응급의료시스템에 AI를 도입, 응급환자 이송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올해부터 오는 2021년까지 3년 간 180억원을 투입, '인공지능(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 개발·실증' 사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선 심혈관질환·뇌혈관질환·중증외상·심정지 등 4대 응급질환을 대상으로 '신고접수-구급차 내 응급처치-환자이송-응급실 진료' 등 응급의료 각 단계별로 적용 가능한 'AI 구급활동 지원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환자 이송시간을 줄여 치료 골든타임을 확보하고, 환자상태와 질환 중증도 등에 따라 맞춤형 진단·처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현재 국가응급진료정보망(NEDIS), 소방청, 응급실 등으로 흩어져 있는 응급의료 데이터를 통합해 AI 학습이 가능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5G 기반 실시간 데이터 전송체계를 접목해 응급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와 대용량 의료영상 등을 119종합상황실과 구급차, 병원 등에서 응급진단·처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과기정통부는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소방청 등과 협업해 2021년부터 2~3곳의 실증지역에서 AI 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이후 지역 소방본부, 의료기관 등에 확대 보급할 계획이다.

노경원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환자 증상에 가장 적합한 응급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응급실을 잘못 찾아 다른 응급센터로 이송되는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오는 19일부터 3월21일까지 이번 사업에 대한 신규과제를 공모하며, 오는 2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