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진압장비 착용 보안 요원 증원…일부 대형병원 가스총·전기충격기 도입 고려
의료진 1~2명인 개원가 트라우마 더 강해…스스로 조심할 수밖에 없는 현실적 고충 호소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故 임세원 교수 사망 사건을 계기로 일선 병·의원들이 재발 방지책 마련에 분주한 분위기다.

국회와 정부가 각종 대책들을 마련 중이고 다수의 의사 단체들도 직접 나서 재발을 막기 위한 방안을 내놓고 있는 것과 별도로 병·의원들 스스로가 유사 사건을 대비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우선 서울대학교병원의 경우 모방 범죄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최근 병원 내 보안을 한층 강화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에 상시 배치된 보안 요원을 1명에서 2명으로 증원했으며 응급실 등 일부 근무지 보안원을 ‘원내 폴리스’로 전환한 것.

원내 폴리스는 총 11명으로 테러에 대비한 방검조끼와 삼단봉, 전기충격기 등 진압장비를 착용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의료진은 물론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최근 사건으로 불안해 하고 있다”며 “원내 폴리스 뿐 아니라 편안하고 안전하게 진료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신촌세브란스병원도 이미 원내에 진압장비가 구비돼 있으나 이번 사건으로 인해 보안을 더욱 견고히 할 방법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촌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만일의 상황을 대비한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의 진압장비가 있긴 하나 병원 내 폭력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가 발생할 경우 피해 없이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서울대학교병원이 진압 장비를 갖춘 폴리스 요원을 배치한 모습.

삼성서울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앞에 배치하던 안전요원의 근무 시간을 20분가량 앞당겼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의 안전요원은 현재 총 110명 정도로, 정신건강의학과에는 삼단봉을 착용한 별도의 고정 인력이 배치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관계자는 “안전요원 배치를 강화하고 근무 시간을 조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일각에서 제기된 검문탐색기 같은 보완장치의 설치는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중앙대병원은 비상벨 작동 시 보안 요원이 빠르게 현장에 도달 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을 체크하고 진료실 비상대피로(공간) 설치 논의 및 보안 요원 배치 상황을 확인하는 등 자체적인 점검을 실시 중이다.

중앙대학교병원 관계자는 “비상벨이 울리면 무조건 보안 요원이 선제적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려 한다”며 “병원 차원에서 마련할 수 있는 방지책과 대안이 무엇인지 내부 논의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일부 대형병원들이 보안 전담인력을 강화하고 가스총과 전기충격기 비치 등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개원가들은 대형병원과 달리 이 같은 자체적인 방지책 마련이 쉽지 않아 고충을 느끼고 있는 모양새이다.

한 개원의는 “대부분의 정신과 의원은 1~2명의 의료진과 소수의 직원만으로 이뤄져 있다”며 “이 때문에 공격적인 환자와 갑작스러운 상황에 적극적인 대처를 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 스스로 더 조심할 수 밖에 없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또 다른 개원의도 “개원가는 사실상 자체적으로 안전요원을 배치하기 어렵고 대피시설도 따로 마련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안전요원 고용이나 대피시설 구축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