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용진 단장, 커뮤니티케어 관련 대학병원 가이드라인 연구·전문인력 교육 역할 강조

권용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

[의학신문·일간보사=이재원 기자]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 대학병원이 전문인력 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과 관련 연구 등에 중추적 역할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이를 설명하기 위해 '아카데믹 메디슨(Academic Medicine)' 개념을 제시해 눈길을 끌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공공의료사업단은 20일 본원 의생명연구원에서 제1차 서울 임상공중보건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세션발표에 나선 권용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은 커뮤니티케어 속 대학병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권용진 단장은 "커뮤니티케어의 핵심은 의료서비스 연계에 있어서 연계망을 만드는 것"이라며 "특히 지역거점병원이 최종치료를 완결하지 못할 때는 대학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이 환자를 받아 최종 치료적 역할을 맡는다"고 설명했다.

권 단장은 "커뮤니티케어의 또 다른 핵심은 방문서비스인 홈케어"라며 "허약노인과 외래관리형 질환자가 집에서 생활이 가능하도록 방문의료,방문간호,방문약료 등을 제공하는 홈케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권 단장은 "이 같은 최종치료 책임과 홈케어 서비스와 관련해 제공 주체별 의료행위의 범주와 표준진료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연구와 전문인력 교육을 하는 것이 대학병원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권 단장은 대학병원의 커뮤니티케어 속 역할과 관련된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아카데믹 메디슨(Academic Medicine) 개념을 제시했다. 미국 의과대학교 협회(AAMC)에 따르면 아카데믹 메디슨은 교육·연구·진료의 우선순위로 세축을 함께 발전시켜야 의학이 발전한다는 개념이다.

즉, 커뮤니티케어의 시행에 있어 단순 치료와 진료에만 집중되는 것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지역병원과의 연계 연구와 가이드라인을 통한 전문인력 교육이 뒷받침 돼야만 성공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발표에 따르면, 대학병원의 교육적 역할로 먼저 전문 인력교육이 강조된다. 의사,간호사의 환자평가 및 진료와 함께 약사의 다약제 분석 및 복약지도 방안, 사회복지사의 사례평가 및 자원연계 방안들에 대한 홈케어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또한 심포지엄의 활성화와 다학제적 접근법이 함께 중시된다.

커뮤니티케어 속 대학병원의 연구 역할로는 지역사회와 연계된 연구자 그룹을 운영하는 것이다. 홈케어의 영역과 가이드라인 설정 및 가장 효율적인 지역사회 의료 연계체계에 대해 다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 진료적 역할로는 대학병원이 환자의 최종적 치료의 책임을 지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서 홈케어와 지역거점병원 모형의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공공의료 센터 등 지역사회와 연계 창구를 형성해 성공적인 최종치료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강조된다.

권 단장은 "커뮤니티케어와 관련해 의사들은 넓은 의미의 케어영역으로 넓혀가고 자신들의 전문성을 가지고 행동하게 될 것"이라며 "그러나 그 행위가 학문적으로 뒷받침되지 않고,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지 않는 한 의사들이 커뮤니티케어에 자신있게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커뮤니티케어 속 대학병원의 기능은 각 지역을 기반으로 지역사회와 협력하며 연구해 행위의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이라며 대학병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