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신약개발과 스마트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
4차산업위,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 발표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통해 헬스케어 산업의 종합 발전전략을 세웠다. 인공지능 신약개발과 스마트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이 전략에 포함됐다.

보건복지부는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10일 열린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확정‧발표했다.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은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설정했다.

중점추진과제로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과제를 설정했다.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 일반인, 암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통합·분석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경험을 축적하고 표준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19~’21)한다.

모집 대상은 일반인, 생활습관개선 대상자, 암생존자 각 100명으로 본인 동의체계 개발 및 참여자를 모집해 데이터(자료)를 생산하게 된다. 이후 데이터 통합전송 관리기술을 표준화하고 연구·기술·서비스 개발에 나서게 된다.

인공지능 신약개발 활용 : 신약개발을 위한 기간‧비용을 단축하는 등 국가적 신약개발 역량을 제고한다.

‘인공지능 신약개발 기반(플랫폼) 구축사업’(’19~’21)을 통해, 후보물질 발굴,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감시 등 신약개발 전 단계에 활용가능한 단계별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고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관리할 수 있는 신약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병행하고,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접 연구를 수행할 제약사 내부인력 전문화 교육을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 : 정부는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을 통해 신약 개발 지원체계를 고도화한다.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CTMS) 개발을 통해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관리시스템을 통일된 형식으로 전환(’21~)한다. CTMS는 임상시험센터별 임상시험 자원 표준화 및 공동활용, AI 등 4차산업 기술을 활용한 임상시험설계·환자 모집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또한 다기관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및 임상시험 기술 고도화, 안전성 기반 강화 등 차세대 임상시험 신기술 개발을 추진(’19~’21)하여 임상시험 효율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다.

아울러 다기관 임상시험 수행 시 ‘IRB 심사 상호인증‘ 제도를 시범운영(‘19~‘21)하고, 혁신형 제약기업의 신약 개발 승인·허가 기간을 단축하는 등 임상시험 단계별 제도개선을 추진한다.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 정부는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 지원, 수요창출, 규제개선 등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빅데이터, AI, 3D프린팅 등 新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한다. 이미 범부처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2조8000억 원 규모의 사업이 계획돼 예타가 진행 중이며,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 사업(‘18-’22, 420억) 등도 함께 추진된다.

이와 함께 병원 수요를 반영한 구매조건부 R&D 프로그램 도입, 국내 대형병원 시범사용 등 국산 융복합 의료기기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또한 신의료기술평가 제도를 개선하여 혁신의료기술의 잠재가치를 평가하는 별도의 평가체계를 구축하고(’18.11~ 시범사업), 체외진단기기 신의료기술평가는 사후평가방식으로 전환(’19.1월~)한다.

헬스케어산업 생태계 조성 : 기술확보에서 창업, 성장, 투자회수를 거쳐 재투자까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역동적인 헬스케어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단지)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을 지원하여 개방형 혁신(Open-Innovation)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기초과학·정보기술(IT) 등 타 학문 지식·연구방법론을 체득한 융합형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고 MD·Ph.D 공동연구 지원을 확대하여 헬스케어 혁신을 선도할 현장․연구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현재 의사과학자 양성(10억 원), MD·Ph.D 공동연구사업(19억 원), 글로벌 인재양성(60억 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보건산업 혁신 창업센터를 통해 창업기업 밀착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보건산업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정례화하여 정책개발의 효과성을 높일 계획이다.

임숙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과장은 “내년도 신규 사업 및 제도 개선 확정 과제는 일정에 따라 추진하고, 추가적인 논의를 거쳐 계획 구체화·신규 사업 개발이 필요한 과제는 소관 부처 검토를 거쳐 계속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