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담당자·격리 시설 부족 심각…열악한 수가 체계도 한 몫

WHO에서 주관하는 World Antibiotic Awareness Week, 12-18 November 2018 홍보 포스터 중 일부.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일선 요양병원의 감염관리가 전임 담당자의 부재와 시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연구 보고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보건사회연구 38호에서 연구과제 ‘요양병원 감염관리담당자 대상 감염관리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평가’를 소개, 이와 같은 내용을 다뤘다.

‘국내 요양병원 감염관리담당자의 감염관리 업무, 업무 수행 시 어려움과 교육 요구’로 정리된 이번 보고서는 일선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업무 수행 시 어려운 점을 감염관리담당자의 업무역량 부족, 격리시설 부족 및 운영 어려움, 간호사 및 감염관리담당자 인력 부족, 직원들의 감염관리 지식 및 실천 부족, 경영진의 감염관리 인식 부족, 요양병원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수가, 외부 지원체계 부족으로 나눴다.

특히 전임 감염관리담당자의 부재는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장기요양기관은 250~300병상당 전임 감염관리담당자를 두도록 한 정부의 권고안해 따라 약 50%의 너싱홈이 전임감염관리담당자를 배치했지만, 국내의 경우 전임이 전무하고 대부분 겸임으로 이뤄져 있다,

보고서는 겸임체계, 특히 간호부서장의 감염관리담당자 겸임 업무는 급성기 의료기관과 비교하면 감염감시, 유행조사, 연구 관련 업무를 소홀히 할 수밖에 없도록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겸임 업무라 하더라도 요양병원 감염관리담당자에 적합한 교육과 훈련의 기회를 제공해 담당자의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보고서는 제안했다.

보고서는 요양병원 감염관리를 위해 필요한 시설의 부족도 감염관리의 어려움으로 꼽았다. 국외 장기요양기관은 다제내성균과 항생제 사용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비해 국내 요양병원들은 특히 다제내성균과 결핵 환자의 경우 직접 관리하기보다 주로 급성기 의료기관으로 전원 조치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 요양병원은 절반 정도만 격리실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격리 시설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몇 안되는 격리실 또한 다인실로 운영돼 실질적 효과를 띄기가 어려웠다.

결국 급성기 의료기관과 요양병원 간의 환자 이동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 보고서는 이에 따른 다제내성균과 결핵균 전파가 심각할 수 있다고 우려해 요양병원에서 자발적 관리가 가능하도록 관련법과 수가체계 보완을 주문했다.

국외 사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건강보험 수가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외국도 다제내성균으로 인한 의료관련 감염을 관리하는 데 있어 국내 의료기관과 유사한 문제점을 겪고 있었지만, 수가체계의 경우 외국보다 현저히 열악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보고서는 “국내 건강보험 수가가 다제내성균과 결핵 환자의 격리비용과 일회용품 사용에 따른 비용 증가를 보상하지 못하는 데 따른 어려움을 호소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추후 요양병원이 감염관리 체계를 갖추고 운영할 수 있도록 보상하는 방향으로 수가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