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현 원장, 뇌사 관리 필요한 의료현장 인력 부족·부정적 인식 전달 미디어 노출 등 원인 지적
본인 기증의사 존중·연명의료치료 동의 시 장기기증 정보제공·국민 인식 개선 대책마련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뇌사 장기 기증자와 조직 기증자의 수가 2년 연속 하락세에 접어든 가운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조원현 원장

기증은 생명을 살리기 위한 이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기증 감소는 이식대기자의 사망 증가와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원장 조원현)은 6일 광화문 설가온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지난 18년 동안의 국내 장기조직 기증자의 수와 최근 추세 등에 대해 설명하며 이 같이 주장했다.

실제로 이식 대기기간 중 사망자는 2015년 1일 3.3명에서 2016년 3.6명, 2017년 4.4명으로 점차 늘어났다.

더 큰 문제는 2017년도에 이어 2018년 기증자 수치도 또 다시 하락했다는 점이다.

조원현 원장은 “2017년의 경우 2016년 대비 뇌사 장기기증자 수는 58명, 조직기증자 수는 157명까지 줄었다”며 “올해 또한 12월 6일 기준으로 현재 뇌사 장기기증자는 428명, 조직기증자는 105명으로 2년 연속 하락세”라고 우려했다.

조원현 원장은 이 같은 감소세의 원인으로 △뇌사관리에 필요한 의료현장 인력의 부족 △기증 후 기증자 예우 소홀 등의 보도로 인한 부정적 인식의 증가 △기증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미디어 노출 등을 꼽았다.

특히 높아지는 기증 거부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인식개선을 통해 국민들이 장기조직기증에 대한 거부감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조원현 원장이다.

실제로 우리나라와 인구가 비슷한 스페인의 경우 1990년대에는 기증 거부율이 27~28%에서 최근에는 15%대로 낮아졌다.

하지만 한국의 기증거부율은 2016년 46.0%에서 2017년 55.8%, 2018년 10월 기준 59.7%로 오히려 거부율이 더 높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최근 18년간의 장기조직기증자 추이

이에 조원현 원장은 기증 감소에 대한 대책방안으로 △법 개정으로 기증의 또 다른 통로 개발(국회공청회 진행중)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는 죽음에 대한 정의 △심정지 환자에서의 장기기증(DCD) △본인의 기증의사 존중 △선순위 동의권자 동의 시 타 가족이 변경 불가하도록 개정 △영상광고, 생명나눔 교육 확대, 매스컴 등을 통한 대국민 인식 개선 △연명의료치료 동의 시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제공(국가생명윤리정책원 협의중) 등을 제안했다.

아울러 한국장기조직기증원은 전문적인 기증 증진의 노력을 위해 ‘장기기증팀’과 ‘조직기증팀’으로 팀을 개편해 사망자의무기록 조사를 확대하고 기증동의율 제고를 위한 학교교육 교제 개발 및 교사교육을 진행할 방침이다.

조원현 원장은 “기증은 억지로 권유환다고 해서 이뤄지는 것이 절대 아니다”며 “우리 사회 속 국민들의 마음과 인식이 바뀌는 것이 제일 중요한 만큼 교육 등을 통해 문화적으로 자리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이어 “기증원은 현재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생, 일반인들까지 모든 계층에게 장기조직기증이 생명을 살리는 소중한 일이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 교재를 마련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