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세포 표면단백질 작용 저해하는 지질 다량 합성

日 연구팀, 이 합성 막으면 새 감염증 치료로 활용

[의학신문·일간보사=정우용 기자] 치명적인 박테리아로 알려져 있는 '연쇄구균성 독성 쇼크 증후군'(Streptococcal Toxic Shock Syndrome, STSS)이 면역의 공격으로부터 회피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연쇄구균은 손발의 괴사나 다장기부전 등 치명적인 증상을 유발하는 예가 있다. 이 때 면역세포의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작용을 저해하는 지질을 다량으로 합성해 면역의 공격을 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합성을 막으면 면역의 공격을 회피할 수 없는 새로운 감염증 치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성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23일자에 게재됐다.

연쇄구균은 인두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균이지만 일부에서는 괴사나 다장기부전 등 중증 증상을 발현하는 치사성 감염증을 유발한다. 이 때 면역의 공격을 피해 증식하지만 그 메커니즘이 명확치 않아 치료도 어려웠다.

연구팀은 연쇄구균에 대한 면역반응이 일어날 때 면역세포의 표면에 발현하는 단백질인 '밍클'(Mincle)이 연쇄구균을 생성하는 지질인 'MGDG'(monoglucosyldiacylglycerol)를 인식하고 면역반응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연쇄구균은 MGDG를 토대로 밍클의 작용을 저해하는 지질인 'DGDG'(diglucosyldiacylglycerol)를 생성하고 있었다. 중증화한 연쇄구균에는 DGDG가 다량으로 함유돼 있으며 이 지질을 다량으로 생성해 면역의 공격을 회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