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턱치과 강진한 원장 “전조증상 확인 시 빠른 조치로 ‘습관성’ 막아야”

[의학신문·일간보사=오인규 기자] 하품 등 입을 크게 벌리는 행동 시 ‘딱’하는 소리와 함께 턱뼈가 빠지는 현상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흔히 ‘아래턱뼈가 탈구 됐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떤 원인에 의해 아래턱의 위치가 좋지 못해 앞, 옆 등 턱관절구로 부터 어긋나 관절이 빠져버리는 현상이다. 하지만 관절이 빠지지 않고 입이 잘 벌어지지 않고 통증만 있는 경우 턱이 빠진 현상으로 자칫 오해할 수 있어 그 차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탈구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습관성 턱 탈구’로 진행되기 쉽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고 있다. 원인은 심한 스트레스나 긴장의 연속으로 턱 관절 기능이 저하되면서 턱 주변 근육이 함께 긴장됨과 함께 입이 잘 벌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때 무리하게 입을 벌리게 되면 턱 관절을 싸고 있는 관절낭과 인대가 갑자기 늘어나 턱 탈구가 발생한다.

서울턱치과 강진한 원장

특히 습관성 탈구가 자주 일어나는 사람들은 그 기간이 오래되면 얼굴 모양이 길어지고 아래턱이 주걱턱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만약 양쪽 턱이 함께 빠지는 경우라면 입을 다물 수 없거나 귓볼의 앞부분이 움푹 들어가 아래턱이 밑으로 내려가기도 한다.

한 순간에 턱이 빠지는 급성 탈구의 경우 두통과 안면비대칭, 개구장애, 교합이상, 저작기능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습관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급성에 비해 통증은 덜 할 수 있지만 똑같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가져올 수 있다.

서울턱치과 강진한 원장은 “턱의 탈구가 습관성으로 진행되기 전 턱 관절 장애와 같은 여러 전조증상이 나타나기 마련인데, 통증이나 턱의 소리 등이 느껴진다면 조기에 치료를 해 주어야 탈구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무엇보다 습관적인 턱 탈구는 치료가 쉽지 않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필요하며 조기 발견 시 턱교정술 또는 치아교정 등의 치료를 통해 턱과 교합의 위치를 제자리로 맞춰주거나, 도수치료나 턱관절장치 등을 통해 턱 주변조직이 손상되지 않도록 회복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