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안정성 보장할 인력 절대 부족…‘돈도 없지만, 사람은 더 없다’

독일 한 병원의 문 닫은 응급실 모습.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심초음파 인증 보조인력 확대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사용자 입장인 병원계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겉으로는 직역 업무 영역 조정에 대한 입장을 절대 밝히지 않는 병원계이지만, 내부적으로는 극심한 인력 부족 현상으로 인해 사태 추이 흐름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상황이다.

24일 병원계 등에 따르면 현재 병원계는 크고 작은 병원을 가리지 않고 극심한 인력 부족 사태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한 종합병원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무제와 전공의 수련환경 변화로 인해 사람을 더 뽑아야 병원이 돌아가는데, (고용할) 사람이 없다”면서 “의사와 간호사는 항상 사람이 없고, 일반 경력자도 구하기 힘든 경우가 생겼다”고 토로했다.

지방의 경우는 더 심했다. 지방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돈도 없지만, 사람은 더 없다”면서 “만약 돈이 있다 하더라도 능력 있는 인재들은 다 서울로 가기 때문에 (인력을) 잡을 수도 없다”고 밝혔다.

인력 부족 사태가 수술의 연속성 등 진료의 안정성을 침해할 수준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전공의, 그리고 병원 직원들은 각각 주당 80시간과 52시간 근로시간이 묶여있는데, 이 시간을 초과하면 아예 일을 하지 않는 사태도 벌어진다는 것이 병원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종합병원의 진료과장은 “수술을 하다가 전공의가 나가는 경우도 봤다”면서 “근무표 짤 때 근무시간을 고려해 작성하긴 하는데, 수술 시간이라는 것이 워낙 유동적이고 응급상황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는 (시간 관리에) 거의 손을 놓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보조인력 활용은 일선 병원들에게 ‘가뭄의 단비’처럼 느껴질 수밖에 없다. 어떠한 프로세스에 대해 같은 결과를 낼 수 있다면 좀 더 인건비가 적게 드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경영의 기본상식이다. 보조인력과 같은 대체방안은 임시방편이긴 하지만, 임시방편이라도 쓸 수밖에 없는 병원계의 사정을 살펴봐달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입은 있어도 말할 순 없다…‘결국은 저수가’

이와 같이 갈수록 악화되는 경영 여건에도 불구, 대한병원협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들은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직역 업무 영역 조정은 당사자 간 문제이기 때문에 낄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지만, ‘괜히 나서서 문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입장도 섞여 있다.

병원 관계자는 “의사를 쓸 수 있다면 당연히 의사를 쓰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어느 병원이나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것”이라며 “근본적으로 저수가에서 모든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정부에서 알았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