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병상 관리·연동 시스템 개발…현장 대응 가이드라인 설정·지역별 자원 분포 파악 추진

국립정신건강센터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신질환 관련 응급 상황 발생 시 초기 대응부터 응급 병상 관리까지 체계화시키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최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정신건강 응급대응 시스템 구축 방안 수립’ 연구과제를 공고했다.

이번에 수립이 추진되는 응급대응 시스템은 정신질환자로 추정되는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경우 현장에 출동한 정신건강전문요원의 판단 속에 환자의 입원 여부를 결정하고, 이용 가능한 관계기관(정신의료기관·정신건강복지센터 등)의 응급 병상을 확인 후 이송하는 시점까지를 체계화한 것이다.

현재 일반 응급환자의 경우 국가응급환자진료정보망(NEDIS)-응급의료포털(E-Gen)을 통해 각 의료기관의 응급 병상 유무를 알 수 있지만, 정신질환자를 위한 응급 병상은 따로 체크되진 않는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관계자는 “이용 가능한 응급 병상의 규모 파악이 어려워 자·타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큰 사람을 급박하게 응급입원 시켜야 하는 상황에서 정신의료기관에 입원 가능한 병상이 있는지 여부를 일일이 유선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립정신건강센터는 국가 입‧퇴원관리시스템, 정신건강사례관리시스템(GMHIS, PHIS), 응급실 기반 자실시도자 사후관리사업 시스템, 국가응급환자진료정보망(NEDIS)-응급의료포털(E-Gen), 자살시도자 사례관리시스템 등과 연동하는 방안을 마련해 체계적으로 정신질환자를 위한 응급 병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 연구과제에서는 현장에서도 자살예방센터나 학계 의견, 인권‧법적 자문 등을 고려해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응급입원 판단이 어떤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뤄져야 하는지도 살펴보게 된다. 다만 이 내용은 연구과제 제안설명서(RFP)에 명시되진 않았다.

아울러 각 지역에 얼마나 정신건강 응급 병상이 설치돼있는지 분포도를 파악하며, 효과적으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의료 자원이 각 지역별로 어떻게 구성돼있는지도 확인하게 된다.

국립정신건강센터 관계자는 “정신과적 응급환자 발생 시 빠르게 응급병상 파악, 적절하게 응급상황에 대응함으로써 시의적절한 치료를 보장하고 정신과적 응급상황 발생과 관련된 가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관련 연구 수행, 정신건강서비스 개발 및 정책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