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 치료관리 등 운영 관련 인프라 부족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문재인 정부의 치매정책이 공공자원 뿐만 아니라 민간자원도 적극 활용돼야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조기 검진이나 치료 관리 시스템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관련 인프라는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은아 회장

대한신경과의사회 이은아 회장<사진>은 지난 14일 밀레니엄힐튼호텔에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통해 전국에 치매안심센터를 개설하고, 1:1 맞충형 상담, 검진, 관리, 서비스 연결까지 통합적인 지원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받은 상담, 사례관리 내역은 새로 개통될 ‘치매노인등록관리시스템’을 통해 전국 어디에서든 유기적, 연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별로 센터가 인력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등 환자들이 정체되고 있다는 게 신경과의사회의 지적이다.

이은아 회장은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고 빨리 치료하는 시스템으로 넘어가야하는데 많은 치매 환자들이 센터에서 정체되고 있는 상태”라며 “공공과 민간이 치매 조기 진단에 있어 함께 협력한다면 보다 긍정적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센터의 인프라 부족으로 2차 정밀 검사 등 감당하지 못하는 환자에 대해서 인근 신경과 병의원들을 활용해 조기 진단하도록 민간의 기능을 활용해야한다는 게 이 회장의 주장이다.

예를 들어 소아무료백신사업에 보건소와 민간의료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것처럼 치매도 함께 관리하는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회장은 치매진료에 있어 환자의 가족 상담료 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신경과의사회에서는 급증하는 치매 환자 가족의 궁금증과 고통을 줄이기 위해 치매 환자 상담 매뉴얼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담료 신설의 근거를 마련 중이다.

이 회장은 “그동안 신경과는 치매 중심과로 가족에 대한 상담을 평균 30~40분 수준에서 많이 진행하고 있다. 환자 특성상 반복적인 설명이 필요해 진료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라며 “하지만 이에 대한 진료 상담 및 교육에 대한 인정은 받지 못하고 있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이에 의사회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표준화해서 가족상담 매뉴얼을 제작해서 배포했다”며 “정부에서 치매 환자 및 가족 상담료를 신설해주길 바란다. 이를 만들어주면 환자 가족들도 충분히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