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입원전담전문의 설문조사 공개…제도 정착 위해 현장 목소리 귀기울여야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보건당국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활성화를 외치고 있지만 정작 전공의들은 불안정한 고용 등을 이유로 입원전담전문의로서의 진료 결정을 쉽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 회장 안치현)가 입원전담전문의 인터뷰 질문 모집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는 전공의 90명이 참여했으며, 전공과로는 내과(36.67%)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연차별로는 3년차(27.78%), 4년차(27.78%) 레지던트가 주로 참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입원전담전문의 진로의 가장 큰 단점으로 '불안정한 고용(83.33%)'을 꼽았다.

실제 대부분의 입원전담전문의가 계약직으로 채용되고 있어 고용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

이어진 단점으로 △불확실한 진로(58.89%) △기존 과 의료진과 의견 충돌(58.89%) △잦은 야간 당직(57.78%) △사회적 지위 및 인식(33.33%) 등이 꼽혔다.

반면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의 장점으로 △근무 시간 조정의 자율성(57.78%) △대학병원 근무의 이점(57.78%) △연구 등 진료 외 업무 부담 최소(52.22%) △높은 연봉(40%)을 꼽았다.

입원전담전문의에 대한 ‘높은 관심과 장래성’을 장점이라고 선택한 응답자는 6.67%에 그쳐 눈길을 끌었다.

이 같은 응답 결과를 반영하듯 전공의들은 입원전담전문의의 △업무 독립성 △정년 보장, 정규직, 연금 등 고용 안정성 △환자 수나 전담의 수, 외래, 당직 등 업무강도 및 근로환경 등에 대한 궁금증을 가장 많이 피력했다.

이는 현재 현장에서 일하는 입원전담전문의가 생각하는 애로사항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가 지난 7월 내과계 입원전담전문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55명 대상 24명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입원전담전문의를 지원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직업 안정성(50.0%) △레지던트 업무에 대한 심적 부담(41.7%) △급여(33.3%) △새로운 역할에 대한 부담(29.32%) △근무여건(29.2%) 순으로 집계된 것.

입원전담전문의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병원 차원에서는 △입원전담전문의의 병원 내 역할 정립(87.5%) △점진적 급여 인상(45.8%) △고용의 안정성(41.7%)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정부는 △제도적 뒷받침(75%) △수가인상(70.8%) 등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응답한 바 있다.

아울러 이들은 주위의 권유(29.2%), 워라벨(29.2%), 언론 자료(20.8%) 등을 통해 입원전담전문의에 지원했다고 답했고 응답자 중 41.7%가 현재 근무여건에 만족했으나 계속 근무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62.5%에 그쳤다.

계속 근무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는 과도한 업무 로딩(58.3%), 인력부족(33.3%), 급여(33.3%) 등이 언급됐다.

당시 대한입원전담전문의협의회 김준환 홍보이사(서울아산병원 내과 진료전담교수)은 “만족도 및 지속적 근무의향이 지난해 설문 결과보다 낮게 나타났다”며 “입원전담전문의가 과도한 업무 로딩으로 번·아웃 되지 않도록 제도적 정비 및 병원, 정부, 학회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연주 대전협 홍보이사는 “입원전담전문의 제도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 안전한 의료 환경을 위해 반드시 정착돼야 한다”며 “시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미국처럼 신속한 활성화 및 보편화를 위해서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협은 입원전담전문의 제도에 대한 전공의들의 궁금증 해소 및 홍보를 위해 최근 현장 근무 입원전담전문의 6인을 섭외해 인터뷰 영상을 제작했으며 이는 대전협 유튜브 채널과 페이스북을 통해 지속적으로 업로드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