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사르탄 문제약 빨리 회수 해야 하는데 어디에 있는지 파악 안돼’

[의학신문·일간보사=김영주 기자]제약업계에서 일련번호제도의 이른 정착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제기됐다. 발사르탄 사태가 한 계기가 됐다. 그동안 일련번호 제도와 관련해선 자신의 의견은 없지 않으나 유통업계 등의 반발을 의식, 최대한 자제해 왔던 터였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발사르탄 사태를 계기로 의약품에 대한 실시간 추적시스템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하고 “문제의약품의 신속한 회수를 위해 의약품유통을 단번에 파악할 수 있는 실시간 추적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식약처는 이달 초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가 함유된 발사르탄 제제(고혈압치료제) 82개 업체 219품목에 대해 잠정적인 판매중지 및 제조·수입 중치 조치를 내렸다.

이후 해당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파악된 104개 제품에 대해선 판매중지 조치를 해제함에 따라 현재 54개 제약사 115개 품목에 대해 판매중지가 잠정 확정된 상태다.

이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자진 회수를 요청하면서 제약기업들이 이들 115개 품목에 대한 회수절차에 착수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활한 회수를 위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115품목에 대한 공급내역을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했지만 유통정보와 현재 의약품의 소재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제약 관계자는 “공급내역을 확인해 유통업체에 연락을 취해보면 이미 다른 데로 넘겼거나 민감한 정보라는 이유로 알려주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문제 의약품의 소재 파악이 제대로 안된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의약품의 소재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 발사르탄 사태에서 보듯 문제의약품을 가능한 빠른 시간 안에 회수하기 위해선 해당 의약품이 현재 어느 유통단계에 있는지 추적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문제의약품이 시중에 유통됐을 때 실시간 추적이 되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만큼 의약품 일련번호 제도가 정착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