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학 발전 과정 및 의료의 사회적 역할 담아…서양의학 중심 의학사 탈피 특징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한국 의학의 역사를 담은 책이 나왔다.

의사학계의 대표적인 소장•중진 학자들이 의학사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한국의학의 역사를 조명한 ‘한국의학사’를 집필해 출간한 것.

인간관계, 나아가 사회라는 장에서 인문학은 우리의 생활과 가치관을 정립해 줄 수 있는 방향키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최근 인문학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의학 교육에서도 인문학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고 그동안 의료의 과학적 측면만을 강조해 환자와의 관계나 사회 활동에서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편을 되짚어 보기 위한 첫 번째 목적을 지녔다는 것이 집필진의 설명이다.

특히 인간과 사회 그리고 의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근본적 이해가 필요하고, 현재 한국사회의 의료상황과 그 속에서 활동하는 의료인의 모습이 어떤 과정을 통해 오늘에 이르게 되었는가에 대한 역사적 이해가 선행될 때 의료인문학은 의학도들을 위한 등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책의 가치는 더욱 의미깊다.

집필진은 “그동안 의과대학 교육 과정에 의학사 교육이 있지만 대부분 서양의학의 역사로 한국의학은 우리나라에 서양의학이 도입된 역사에만 한정돼 있었다”며 “의학사 교육이 서양의학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한국사회가 당면한 의료 현실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한국의학사를 배울 기회가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이 책은 제목 자체가 ‘한국의학사’이기는 하지만 한국의학사에 대해 말하기에 앞서 의학사의 개념과 대상, 필요성에 대해 친절히 설명하면서 시작한다.

치유자와 환자, 질병에 대한 개념에서 의료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의학사의 중요성을 짚어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책은 의사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와 한국 의료의 특수성을 설명하며 한국의사학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고 있어 눈에 띈다.

이후 ‘한국의학사’는 선사시대부터 각 시대별로 질병과 치료법, 의료풍습에 대해 본격적으로 설명하며 한국 전통의학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조선은 전기와 중기, 후기로 나눠 상세히 다뤄지고 있으며 일제강점기를 거쳐 경제성장과 함께 한국의학의 발전에 대해서도 언급된다.

아울러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생명·연구 윤리 문제와 의료직종간 갈등 등 한국의료의 여러 문제에 대해서도 가감 없이 다루고 있고 의학뿐만 아니라 한의학과 약업, 조산업, 심지어 무면허의업까지 포괄적으로 담고 있어 주목된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 책은 북한의학사도 한국의학사의 일부분으로 포함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사회주의 의료를 △구축기 △수립 △공고 △쇠퇴로 나눠 북한 보건의료체제의 형성과 발전상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여인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교수가 입론과 현대의학사 부분을, 이현숙 한국생태환경사연구소 소장이 선사시대부터 고려의학사를 집필했다.

김성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는 조선의학사 부분을, 신규환 연세대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교수는 근현대의학사에 대해 설명했고 김영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교실 의사학과 강사가 북한의학사를 맡아 집필에 참여했다.

△저자: 여인석, 이현숙, 김성수, 신규환, 김영수 외
△출판사: 역사공간
△페이지: 435쪽
△가격: 2만4500원
△출간일: 2018년 6월 1일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