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 국내 노인 6700여 명 추적 평가…사망위험 최대 8배 이상 증가해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치매에 걸린 노인의 경우 실제로 사망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확인돼 주목된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사진 왼쪽)와 배종빈 임상강사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제 1저자: 배종빈 임상강사)은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에 참가한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치매 유병’ 및 ‘치매 발병’으로 인한 사망위험을 최근 분석해 19일 발표했다.

미국의 경우에는 치매를 일으키는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사망원인 중 6위를 차지할 정도로 노인의 주요 사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매 자체가 노인의 사망 위험을 1.7배에서 최대 6.3배까지 높인다는 사실 역시 국내외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노인을 대표하는 표본을 통해 치매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는 부재한 상황이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발표된 연구들도 경도인지 장애와 같은 치매 전 단계까지 분석에 포함하면서 치매로 인한 사망위험이 저평가됐을 가능성이 있어 치매 발병과 사망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평가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0세 이상의 한국 노인 6752명을 추적·평가하면서 치매의 유병은 물론 치매가 발생한 경우에 사망 위험이 얼마나 높아지는지 분석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2년 사이에는 대상자에 대한 치매유병 등을 확인하기 위한 초기 기저평가를 진행했고, 기저 평가 후 2년 뒤에는 추적평가를 시행하고 2015년 12월까지 사망 여부를 확인하면서 사망 위험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연구대상자 6,752명 중 치매유병인원 및 추적·평가 기간 동안 발생한 치매발병인원

우선 치매의 유병과 사망 위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는 ‘정상 인지’, ‘경도인지 장애’, ‘치매’ 세 그룹으로 분류됐다.

기저평가를 통해 총 6752명의 노인 중 334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그 외 정상 인지 기능을 가진 노인은 4544명, 경도인지 장애는 1874명이었다.

치매를 앓고 있는 경우 사망 위험이 얼마나 높아지는지 분석한 결과 치매로 진단된 노인의 경우에는 정상 인지 노인에 비해 사망 위험이 약 2.7배 높아진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또한 치매 발병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에 대한 기저평가 후 2년 뒤에 추적평가를 시행했는데 그 결과, 기존에 정상 인지 혹은 경도인지 장애였던 노인 6418명 중 95명에서 치매가 발생했다.

아울러 최근 2년 사이 치매가 발생한 95명의 노인 즉, 처음에는 치매가 아니었지만 새롭게 치매로 진단된 노인은 정상 인지 노인에 비해 약 8.4배까지 사망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저평가에서 이미 치매를 앓고 있던 노인보다도 최근 치매가 생긴 경우에 사망 위험이 더 높아지며 그 수준이 약 3배 이상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배종빈 임상강사는 “치매 발병이 사망위험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 확실한 기전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긴 하지만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는 신체질환이 인지기능의 저하도 가속화시키면서 치매 진단을 분명하게 만들거나, 치매로 인한 부정적인 삶의 변화들이 사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치매는 노인의 삶과 양식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한다.

특히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해 사회생활이나 취미활동이 어려워지면서 지인, 가족들과의 교류도 점점 줄어들고 더 악화되면 식사나 개인위생을 챙기는 것은 물론 약을 챙겨 먹지 못하는 등 기저질환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지고 때로는 길을 잃거나 교통신호를 확인하지 못해 사고의 위험도 높아질 수 있다.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치매가 노인의 사망위험을 3배 가까이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며 “특히 2년 내에 치매 진단을 새로 받게 된 사람들은 사망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만큼 처음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은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는 건강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와 올바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노화와 질환(Aging and disease, IF=4.648) 온라인 판’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