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타깃 몸값 오르고 경쟁 치열해져 '창의적' 거래 증가

베인앤드컴퍼니

[의학신문·일간보사=김자연 기자] 작년 미국의 정책적 불확실성에도 불구, 세계 헬스케어 사모투자가 왕성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베인앤드컴퍼니는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확산, 지속적 신약 및 의료기의 개발, 여전히 분화된 비효율적 시스템으로 인해 헬스케어 투자가 성황을 이루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헬스케어 분야에서 공개된 사모투자의 거래 가치는 총 426억달러 규모로 전년도에 비해 17% 증가해 2007년 이래 최고 수준이었으며 건수로도 265건으로 28.6% 늘었다.

부문별로 의료 공급자측 자산과 관련해 139건에 189억달러 규모로 전년에 비해 28% 불었으며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특히 펀드는 저가-치료 환경 및 혁신적 전달 모델에 투자하며 소매 건강과 의료업무관리(PPM) 분야에서 거래가 활발했고 행동건강 분야에서도 투자자들은 기회를 엿보는 모습이었다.

이어 바이오파마에 62건으로 건수의 23% 차지한데 비해 대형 거래가 일어나며 가치로는 40%에 육박한 170억달러 규모를 이뤘다. 이는 약가 압박에도 불구하고 투자가 몰려 경기와 무관한 인기를 보였으며 특히 아웃소싱 서비스에 빅딜이 일어나 비용절감에 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더불어 제약사가 신약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빅데이터와 분석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헬스케어 IT(HCIT) 업체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다음으로 의료기 부문에 역시 전년에 비해 38% 증가한 51건에 65억달러로 금액 상 2배 이상 급증했다. 반면, 의료비용 지불측 부문에 투자는 13건, 2억2000만달러에 그쳤다.

특히 헬스케어 전반에 걸쳐 HCIT 자산에 높은 관심을 보여 투자 거래 건수가 32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39%나 늘었다. 특히 제약 IT 솔루션과 병의원 매출 주기 관리 플랫폼이 높은 관심을 끌었다. 단, 메가급 거래의 부재로 그 가치는 19억달러 규모에 그쳤다.

지역적으로는 북미에서 130건에 221억달러 규모로 세계 최고를 기록했으나 메가딜의 부족으로 거래 가치는 22% 하락했다. 그리고 유럽에서 전년에 비해 43% 늘어난 70건에 128억달러 규모로 제약, 노인 케어, 아웃소스 서비스, 소매 건강에 펀딩이 활발했다. 전반적으로 북미와 유럽에선 의료-공급측 관련 거래가 전체의 약 절반을 차지해 최대 분야를 이뤘다.

이에 비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선 바이오-제약 부문이 반 이상 차지할 정도로 활발했다. 이 지역 거래 건수는 61건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한데 비해 금액 상으론 72억달러로 2배 이상 급등했다. 특히 바이오파마와 의료기 부문이 건수의 60%, 가치의 64%를 이루는 등 뜨거웠고 아태지역 6대 거래 중 3건이 호주와 관련됐다. 특히 중국 정부가 헬스케어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함에 따라 중국의 투자자들이 현지 진출이 가능한 카테고리 주도적 플랫폼을 찾아 호주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까지 M&A를 벌이고 있다. 또 많은 국제적 거래에서 중국 펀드는 해외 펀드 및 기업과 합작하며 아태지역에 걸쳐서 펀드가 점점 컨소시엄으로 합쳐 국경을 넘고 있고 평균 거래 규모도 1억2000만달러로 2014년 이래 50%나 증가했다.

한편 작년 헬스케어 기업 M&A는 총 3320억달러로 급등한 가운데 그 동력은 카테고리 리더십 확보, R&D 아웃소싱, HCIT를 통한 비용 절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헬스케어 사모 투자자들은 투자 타깃을 두고 기업 인수측, 일반 펀드, 기술 펀드, 기관 투자자 등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며 타깃의 가치가 오르는 가운데 작년 10대 거래 중 절반이 복수의 투자자와 관여되는 등 분할 투자, 다른 펀드와 합작, 상장회사 공략과 같은 기존과 다른 창의적인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이미 투자 타깃 자산의 가치가 높아졌지만 올해도 성장 동력을 위한 M&A가 계속 일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앞으로 펀드가 주목해야 할 헬스케어 분야에 변혁을 끼칠 5대 파괴력으로 알리바바·텐센트·애플·삼성 등 기술 업체가 헬스케어 시장에 진입을 꾀하는 아마존 효과, 기계 학습·스마트기기·로봇 등 디지털 혁신, 규제 변화, 소비자 주권 운동, 개인맞춤의학 등이 지목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