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회연구 2018년 제38권 1호서 한양대·극동대 간호학과 연구 내용 수록
치매전문교육 표준화·전문간호사 활용 강화해야…방문간호 서비스 확대 중요성도 강조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첫 발걸음을 내딛은 치매 국가 책임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간호 관점에서의 치매대응체계는 무엇이 있을까.

관련 과제를 풀어가기 위해 치매가족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재가 서비스에서 의료서비스와 요양서비스의 분리, 치매전문교육 표준화, 전문간호사 활용, 방문간호 서비스 확대 등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 같은 주장은 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인 ‘보건사회연구’ 2018년 제38권 1호에서 홍(손)귀령 한양대학교 간호학부 교수, 박경옥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오은미 한양대학교 간호학과 강사가 공동 집필한 논문을 통해 제기됐다.

교수팀에 따르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노인과 관련된 간호현장의 문제들을 진단해 앞으로 치매노인을 위한 간호가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이 이번 논문의 목적이다.

이들은 우선 국내 요양시설이 일상생활지원과 같은 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며 향후 최소한의 안전 및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수용해 요양서비스가 개선돼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교수팀은 “지역사회 재가 서비스에서 방문간호 서비스를 확대 적용하고 의료서비스와 요양서비스를 통합해 제공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직역 내, 직역 간의 통합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치매노인의 의료와 요양에 대한 요구가 효과적으로 충족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간호 인력과 요양보호사 등 각 직역에서 표준화된 적절한 치매전문교육의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전문 간호사의 활용이 치매 인력의 서비스 질 향상을 가능케 할 것이라는 점도 강조됐다.

아울러 교수팀은 치매 가족의 부양 부담감을 덜어주는 시스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이들은 “주·야간 보호소와 같은 시설을 전국적으로 확대해 설치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치매가족에 대한 치매 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한다면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치매를 ‘희망이 없는 퇴행성 질병’이라 생각했던 과거의 관점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사실이다.

교수팀은 “치매 노인에게 적절한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다고 보는 역동적인 변화된 관점을 적용할 수 있는 치매 간호의 새로운 모델 개발과 적용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치매노인도 인간으로의 삶의 질을 유지한 상태로 여생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어 “정부는 실적위주 및 성과중심의 정책방향을 피하고 질적 향상을 위해 통합재가 서비스와 치매안심센터와 같은 새로운 국가 정책이 안착될 수 있도록 시범적용하고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간호계 또한 급성기 환자 간호뿐만 아니라 장기요양간호에도 관심을 갖는 노인 간호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