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 기준 수시로 변해 관계기관 혼란…일관성 있는 지원도 없어
차영주 중앙대병원 교수, “확보한 연구소재 활용 위해 예측가능 정책 나와야” 지적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수시로 변하는 정책 기준 탓에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방치된 것과 다름없는 연구소재은행 사업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거세다.

중앙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차영주 교수는 연구소재은행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이 일관되지 못하다고 일갈했다.

연구소재은행은 암조직과 세포주, 혈청 등 다양한 질병 연구에 활용되는 검체, 바이러스, 미생물 등을 보관하고 필요한 기관에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선진국에서는 독자적인 소재의 경우 ‘연구안보’라는 표현을 붙일 정도로 귀하게 취급하고 그만큼 어렵게 확보한 소재들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중장기적인 지원과 관심을 두고 있다.

이 같은 주장은 지난 18일 중앙대학교 유니버시티클럽에서 개최된 ‘차세대 연구소재 지원사업 혁신 전략 연구 교류회’에서 중앙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차영주 교수를 통해 제기됐다.

차영주 교수 주장의 핵심은 미래 성장을 책임지는 바이오경제 창출과 혁신을 위해 연구소재은행 지원사업의 올바른 방향을 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충분한 관리와 지원만 이뤄지면 해외감염병 예방을 위한 연구소재은행의 역할을 견고히 할 수 있음에도 이와 관련된 정부 정책과 지원 방안은 미흡하다는 것이다.

실제 우리나라는 한국세포주은행, 기질세포유전자은행 등 소재에 따라 다양한 곳이 존재하며 지난 1995년에 특성화 장려사업으로 출발해 현재까지 총 91개소의 은행이 정부 지원으로 운영됐다.

하지만 차영주 교수는 91개소의 연구소재 은행 중 약 16%의 은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이 5년 이내로 머물렀고 10년 이상 지원을 받은 곳도 단 29곳에 불과하다는 점을 비판했다.

차영주 교수는 “문제는 지원이 중단되거나 종료된 은행이 그동안 보유한 소재의 관리 여부가 불투명해진다는 것”이라며 “현재 32%만 10년 연속으로 연구 소재를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중앙대학교 유니버시티클럽에서 개최된 ‘차세대 연구소재 지원사업 혁신 전략 연구 교류회’에 참석한 관계자들.

아울러 연구소재은행의 불투명한 운영 체계 또한 지적됐다.

앞으로 정책 일몰제에 따라 기존의 연구소재은행을 총괄해 관리하던 연구소재중앙센터 및 거점센터 등이 없어질 예정인데 이는 ‘컨트롤타워’가 사라지는 셈으로 개별 은행들의 큰 혼란이 예상된다.

차영주 교수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연구소재은행 관련 정책이 바뀌거나 체계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다보니 은행과 연구원들이 항상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최근 백혈병은행의 경우 당장 지원이 중단돼 이도저도 못하는 상황에 봉착했다”고 언급했다.

이에 중단 및 종료된 연구소재은행의 철저한 관리와 적극적인 정부 지원을 통해 어렵게 보유한 소재들이 방치되지 않고 해외와 경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차영주 교수다.

차 교수는 “연구소재은행이 보유하는 소재들은 연구뿐만 아니라 바이오 분야 등 다양한 사업화와 제품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며 “기관들이 안정적으로 운영과 연구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연속된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