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7만 7천 명 → 2017년 34만 9천 명, 연평균 4.8% 증가
50대 이후 중‧장년층 환자 비율 높고, 연령에 따라 환자 수 증가

[의학신문·일간보사=황병우 기자]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6년간 난청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2년 27만 7천 명에서 2017년 34만 9천 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70대 이상에서 진료인원이 가장 많았으며 난청 질환의 진료비는 연평균 7.6%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18일 이같이 밝혔다.

난청이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청각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소리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소리를 듣지 못해 언어 상태와 관련된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뜻한다.

난청질환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같은 기간 남성은 2012년 12만9천명에서 2017년 16만 4천 명으로 증가해 연평균 증가율은 4.9%로 나타났고 여성 또한 2012년 14만8천명에서 2017년 18만 6천 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4.6%로 조사됐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70대 이상(12만 2천 명, 34.9%)이 가장 많았고 △60대(6만 5천 명, 18.7%) △50대(5만 2천 명, 14.9%) 순으로 이어졌으며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 이상에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2017년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70대 이상이 2964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1236명 △50대 584명 순이며 여성은 70대 이상이 2474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1152명 △50대 671명 순으로 집계됐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난청질환의 진료비의 경우 2012년309억 원에서 2017년 445억 원으로 136억 원이 증가해 연평균 7.6%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에 입원의 진료비는 115억 원에서 139억 원으로 연평균 3.9% 증가, 외래의 진료비는 194억 원에서 306억 원으로 연평균 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최현승 교수는 “70대 이상의 난청 환자는 대부분 노인성 난청으로 연령의 증가에 따른 달팽이관의 노화 현상으로 발생한다”며 보통 30~40대부터 청력의 감소가 시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의 노인성난청의 유병률 조사를 보면 65세 이상의 38%가 노인성 난청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이어 “난청으로 인해서 말소리를 듣지 못하면 의사소통, 학업, 직업, 문화생활을 하는데 큰 제약이 따르게 된다”며 “특히 영유아의 난청은 첫 1년간은 중추 청각로의 형태적, 기능적 발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충분한 청각 자극을 받지 못하면 중추 청각로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구어 의사소통 능력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