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률 교수, 전환기의료 모형개발 및 구축 연구로 확인
최소 일주일의 추가치료 후 노인환자 가정복귀율 기존 65%에서 85%까지 증가

[의학신문·일간보사=황병우 기자] 노인환자의 급성질환을 치료한 뒤 추가적으로 잔여 만성질환과 건강문제를 치료하는 전환기의료를 시행하면 가정으로 복귀할 수 있는 비율이 20%p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특히 이번 연구는 많은 병원들이 환자들의 재원일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노인 치료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한림대학교동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윤종률 교수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건강노화클리닉) 윤종률 교수는 ‘일상생활기능저하상태 고령자의 급성기 후 전환기의료서비스 모형개발 및 구축’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흔히 골절이나 뇌졸중 등 급성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노인들은 해당 질환을 치료한 후 퇴원하지만 장기간 입원생활로 몸의 다른 기능은 오히려 악화되는 경우가 많고 오랜 시간 누워서 지내다보면 욕창이 생기거나 정신이 흐려지고 요실금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번 연구는 2017년 한 해 동안 고관절골절, 뇌혈관질환, 노인병증후군(거동장애, 전신허약, 다발성 통증, 식욕저하, 감염증 등) 등으로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노인병클리닉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77명을 대상으로 최소 일주일에서 한 달 이내의 전환기의료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먼저 고관절골절이나 뇌졸중 등 급성질환으로 입원한 고령환자가 치료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협의진료의 대상이 되는 노인환자는 선별질문을 통해 결정 전환기의료팀에 협의진료가 의뢰되도록 한다.

이후 전환기의료팀은 의뢰된 고령환자에게 포괄적 노인건강평가를 통해 필요한 치료를 결정해 치료는 급성질환 외 남아있는 건강문제 관리와 기능회복을 위한 재활치료가 이뤄지며 ▲통증 조절 ▲섬망 조절 ▲기립훈련 ▲보행훈련 ▲합병증 예방 ▲근력강화 ▲균형훈련 ▲일상생활 동작훈련 등이 시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연구결과 시행 전 65% 이하였던 퇴원 후 가정복귀율이 75%로 10%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양병원과 연계하여 3개월 내의 추가적인 전환기의료를 시행했을 경우 가정복귀율이 85%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윤 교수는 설명했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노인 환자에게 전환기의료를 시행할 경우 가정복귀율을 85%까지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단 뇌혈관질환의 경우 발병 후 신체마비를 비롯한 기능손상 등의 후유증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 달 이내의 전환기의료로는 부족하며 요양원이나 요양병원과 연계한 전환기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어 재원일수 증가로 인한 우려에 대해서 “급성기 치료 후에는 재원일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다”며 “오히려 세분화, 분절적 의료를 제공했을 때 퇴원이 어려워지거나 재입원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재원일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