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개 종병 중 몇 개 병원만 선정 가능성…시범사업 탈락 시 경영 타격 예상

환자의뢰‧회송 시범사업 안내문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까지 환자의뢰‧회송 시범사업 확대를 추진하는 것과 관련, 일선 종합병원들의 지역 환자 점유율 구도가 요동칠 것으로 전망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7일 병원계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각각의 종합병원들은 경영진과 원내 진료협력센터를 중심으로 시범사업기관 선정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자 의뢰와 회송 시 수가가 발생되는 ‘환자의뢰‧회송 시범사업’은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관만 수가를 받을 수 있다. 이번에 종합병원까지 회송기관이 확대되면서 의원급 의료기관들은 의뢰기관 선택지가 종합병원까지 늘어났다.

문제는 ‘모든 종합병원’이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란 점이다. 현재 복지부가 추산한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은 128개 기관이다. 이 중 선정기관 수는 사전에 결정돼있지 않은 상태이며, 지역별 배분 등을 고려해 최종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의원급 의료기관 입장에서는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에 의뢰하면 의뢰환자관리료(약 1만4000원)를 받을 수 있는데 굳이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기관에 환자를 보낼 필요가 없다.

즉, 협력 병의원간 체계적인 진료의뢰-회송을 유도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방침인데도 불구,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기관과 그렇지 않은 기관 간의 환자 의뢰 차이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병원 관계자는 “지역 내에서 어떤 종합병원은 시범사업에 들어가고 어떤 종합병원은 떨어진다면 떨어진 병원은 의뢰 환자가 큰 폭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각 종합병원 진료협력센터들은 초긴장상태”라고 전했다.

종합병원들이 하루에 받는 진료의뢰서는 적게는 50여 건, 많게는 100건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이 정도 규모의 환자가 시범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병원 선택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일일 외래 건수의 5~1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의뢰 수가와 회송 수가, 환자 입원료 등을 더할 때 병원 경영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병원 관계자는 “결국은 협력 병의원에 대한 신뢰 관계 확립과 병원 내 시스템 구축 등이 관건인데 시범사업 선정 결과라는 뚜껑이 열리기 전까지 최선을 다할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