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1맵핑 기술 심장 MRI 정보에 적용…예후와 관련된 심장근육 섬유화 한눈에 파악

[의학신문·일간보사=정윤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MRI로 예측하는 지표를 개발해 화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 교수(사진 왼쪽)와 이희선 교수(강남센터)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승표·이희선 교수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127명의 심장 MRI 정보에 ‘T1맴핑’을 적용해 ‘심근T1값’을 측정한 후 평균 2년 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한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MRI는 강한 자기장 형성 시 인체에서 되돌아오는 자기파를 측정해 영상을 얻는 장비로 자기파가 돌아오는 시간은 섬유화, 염증, 경색 등으로 주변조직의 상태가 좋지 못하면 늘어나고 반대일 경우 줄어든다.

이때의 시간을 ‘T1값’이라고 하고 ‘T1값’을 색상으로 표현된 영상으로 나타낸 것을 ‘T1맵핑’이라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결과, ‘심근T1값’이 높을수록 환자의 예후가 좋지 못했는데 값이 가장 높은 군(심근 섬유화가 가장 심함)은 42.9%가 사망과 심부전 악화로 응급입원을 경험했고 반면 값이 가장 낮은 군은 이 비율이 2.4%에 그쳤다.(심근T1값은 연구팀이 개발한 지표를 의미한다)

또한 연구팀은 연령, 증상 여부, 심근손상 정도 등 기존에 알려진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위험인자와 심근T1값을 함께 분석하면 수술 후 결과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좌심실 단면 T1맵핑. 별도 표시부분은 대동맥판막 협착증과 관련된 심장근육 부위. 색이 노란색에 가까울수록 근육의 섬유화가 심하다(사진 왼쪽, 심장근육의 T1값이 높다는 의미). 색이 파란색에 가까우면 근육의 섬유화가 심하지 않다(사진 오른쪽, 심장근육의 T1값이 낮다는 의미). 색 기준은 연구팀이 변경할 수 있다.

내원 환자 127명 중 대동맥판막 치환수술을 받은 환자 87명을 추가분석한 결과, 수술 전 심근T1값이 가장 높은 군에서는 수술 이후 사망 및 심부전 악화로 인한 응급입원이 4건 발생했으나 값이 가장 낮음~중간인 군에서는 단 1건도 발생하지 않았던 것.

이와 관련 이승표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질환의 상태와 진행 속도, 환자의 증상과 동반 질환 등을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예후 예측을 가능케 해 관련된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이희선 교수 또한 “대동맥판막협착증은 대부분 퇴행성이 원인이라 예방이 쉽지 않고 고령화되는 현대사회에서 환자가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된다”며 “가슴통증, 호흡곤란, 두근거림,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주저하지 말고 순환기내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HI15C0399)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미국심장학회 공식 자매잡지인 ‘JACC Cardiovasc Imaging’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