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치료 등 5개 분야에 각각 2000억원 배정…복지부·과기부·식약처, 운영위원회 구성

[의학신문·일간보사=안치영 기자] 정부가 치매극복연구를 위해 10년간 총 1조1054억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치매연구개발사업 공청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치매연구개발사업 기획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10년간 총 1조1054억원이 투입되는 사업비를 다섯 가지 분야로 나누어 투입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원인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인프라 구축 등 5개 분야에 약 2000억원씩 투입되며 본사업비로 1조254억원이 투입된다.

원인규명 및 예방 분야에서는 치매 유발인자의 발생부터 치매 유발까지 전 주기에 대한 탐색과 치료 표적 발굴, 중추신경계와 면역 상호작용 규명, 치매 단백질 변형 연구, 인지 예비능 규명 등의 주제가 포함된다.

또한 치매 예측시스템 개발, 치매 발생 및 예후에 영향 주는 인자 발굴, 치매 발병 선별검사 도구 개발, 치매 예방 신기술 개발 등도 함께 포함된다.

혁신형 진단기술에는 치매 특이적 영상진단 기술 개발, 혈액·체액 기반 진단기술, 생체신호 기반 진단기술, 융합형 진단기술 등이 연구된다.

맞춤형 치료에는 신약후보물질 개발부터 약효평가 맞춤형 플랫폼 개발, 약물전달기술 등의 비약물 치매 치료기술 개발 등이 연구될 예정이다.

이밖에 체감형 돌봄 기술에는 치매 환자 자립 스마트홈 서비스 개발부터 정신행동증상 탐지 기술, 보조기기 등의 기술이 사업내용에 포함되며 치매 인프라 구축 사업에선 치매 뇌은행 구축, 치매 개방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등 국가 인프라 구축 등의 사업이 포진해있다.

정부는 복지부와 과기정통부, 식약처와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를 구성, 산하에 민간자문단과 기관R&D협의체를 두고 사업을 이끌어간다는 방침이다.

양성일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015년 기준으로 치매관리비용은 13조 2000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1%에 이르고 있고 2017년 6월 조사에 따르면 국민이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질환으로 치매를 꼽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는 치매 극복을 위해 R&D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고 전략적인 지원을 통해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면서 연구 친화적인 기반 구축 등도 약속하였다.

치매연구개발사업 운영 관리 체계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