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학회-중환자의학회, ‘제2, 제3 신생아중환자실 사망 사건 재발 막아야’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기자] 환자의 생사가 결정되는 중증외상이나 중환자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현 우리나라 응급의료시스템이 지속된다면 제2, 제3의 이대목동병원 신생아중환자실 사망사건 등이 재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또 권역외상센터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외상체계의 모순적 구조로 외상환자 10명 중 3명이 사망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소장 이용민)가 ‘대한민국 의료 구조적 모순을 진단한다’를 주제로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마련한 토론회에 앞서 대한외상학회, 대한중환자의학회 관계자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은 주장을 펼쳤다.

임채만 회장

우선 임채만 회장(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의료접근성이 뛰어난 보험제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이 접근성이 ‘효과적인 치료’를 담보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반성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임 회장은 “우리나라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은 27~79%까지 병원마다 수치다 다양하다”며 “결국 어디 병원으로 가느냐에 따라 생존유무가 바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패혈증 사망률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는 것. 우리나라 패혈증 사망률은 40%를 상회하는 수치로 선진국의 두 배이며, 매년 1만4400여명이 사망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만 보더라도 우리나라 치료 수준은 미국과 아프리카가 공존해 있는 것이나 다름없으며, 중증의료의 현실은 굉장히 후진적이라고 볼 수 있다는 게 임 회장의 지적이다.

임 회장은 “인공호흡기 환자 사망률로부터 패혈증 환자 사망률의 병원 간 및 지역적 편차, 그리고 중증외상센터의 부실, 신생아중환자실 사건 등은 복지부의 자기 고백서”라며 “보건당국의 싸구려 의료정책이 인명을 싸구려로 만들어왔다. 이대로는 희망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 의료체계에서 가장 추운 분야는 중증외상과 중환자”라며 “엄동설한인 중증외상과 중환자 분야에 봄이 오기를 바란다”고 희망했다.

이강현 회장

대한외상학회 이강현 회장도 최근 중증외상과 중환자에 대한 사회적 이슈에 따라 이번 기회를 통해 반드시 개선점을 찾아야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강현 회장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외상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의 약 30%는 살릴 수 있음에도 외상체계의 구조적 모순으로 사망하고 있다. 물론 외상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정부에서 권역외상센터를 지정‧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외상치료체계는 많은 구조적 문제점으로 의료기관들이 운영하는데 많은 어려움일 겪고 있다고 이 회장은 꼬집었다.

이 회장은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이 개선되지 않고는 국민들에게 제대로 된 외상치료 서비스의 제공은 어렵게 되고, 예방이 가능한 외상사망률은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며 “외상치료체계는 공공의료로 국가의 지원과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