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급성기 뇌졸중 인력 무엇보다 중요…신경과 의사 확보 필수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인구 고령화에 따라 뇌졸중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뇌졸중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는 학계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신경과학회(이사장 이병철)는 10일 서울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은 입장을 피력했다.

신경과학회에 따르면 뇌졸중은 단일 장기질환으로 심장병과 함께 사망률 1~2위를 다투고 있는 가장 중요한 장애의 원인 질환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로 뇌졸중 환자 수의 급증이 예상되며, 오는 2030년에는 35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다행하게도 치료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뇌졸중은 이제 더 이상 사망 혹은 장애가 아닌 치료가능한 병이 됐다는 게 학회 측 주장이다. 하지만 이런 치료의 혜택을 받는 환자는 아직 소수에 불과하다는 것.

대한신경과학회 배희준 정책이사(분당서울대병원)

이날 대한신경과학회 배희준 정책이사(분당서울대병원)는 “문제는 아직도 많은 환자들이 늦게 내원하거나 치료 가능한 병원들조차 준비가 돼 있지 않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배희준 정책이사에 따르면 국가 지정 11개 권역심뇌혈관센터에서 치료를 받은 뇌졸중 환자의 수는 아직 전체 뇌졸중 환자의 5%에 지나지 않는다.

심지어 뇌졸중 주요 증상에 대한 우리하나 국민들의 인지율은 이미 70%를 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골든타임인 3시간 이내에 내원하는 비율은 30%에 그치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신경과학회에서는 뇌졸중전문치료실을 핵심으로 하는 일차뇌졸중센터를 지역으로 확대해 안전망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배 정책이사는 “학회는 전 국민이 지역적, 경제적 차별 없이 적절한 뇌졸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국가적 안전망이 필요하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며 “인증 과정을 통해 전국 각 지역의 역량 있는 병원들의 참여를 독려해 충분한 센터를 확보하고 촘촘한 네트워크를 구축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뇌졸중 안전망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러한 시스템 마련의 전제로 신경과 전문의의 확보가 선행돼야한다는 게 학회 측 판단이다. 뇌졸중 치료의 특성상 시간을 다투는 응급 대응이 필요한데 이를 담당할 인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배 이사는 “인구수를 고려하면 적어도 약 100개의 뇌졸중센터가 확보돼야하지만 비인기과로 낙인된 신경과의 경우 전공의 지원도 부족하고, 전문의들도 진료현장을 떠나고 있는 실정”이라며 “심지어 복지부의 전공의 정원 감축 정책으로 문제는 더욱 심각해 향후 뇌졸중을 비롯한 신경계 응급질환 진료 체계의 붕괴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국 뇌졸중 전문 진료인력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정확한 필요인력 추산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지원으로 최근 진료 환경이 많이 개선된 응급의료 및 중환자 진료 같이 뇌졸중 분야의 진료시스템 유지를 위해 정부의 정책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