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욱, 김현숙 연구팀, 심뇌혈관질환자 1700명 흡연 이력 관찰…“입원 단계부터 금연 관리해야”

[의학신문·일간보사=김현기] 담배를 피우던 뇌졸중 환자나 심근경색 환자 중 절반이 여전히 담배를 끊지 못하고 계속 흡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은 뇌졸중이나 심근경색과 같은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위험요인 중 하나이며, 사망하거나 심각한 후유 장애를 겪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환자들은 여전히 담배에서 벗어나고 있지 못한 셈이다.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신한대학 김현숙 교수, 서울대병원 임유경 전공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표본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심뇌혈관질환을 겪은 1700여명을 분석해 이같은 연구결과를 내놨다.

왼쪽부터 삼성서울병원 신동욱, 신한대학 김현숙 교수, 서울대병원 임유경 전공의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 환자 중 486명(28.6%)이 발병 이전 담배를 피웠던 것으로 확인됐다.

흡연자 가운데 342명(70.4%)은 뇌졸중이 발병, 134명(27.6%)은 심근경색 등의 원인인 관상동맥 질환과 같은 허혈성 심질환 환자였다. 나머지 10명은 두 질환이 한꺼번에 온 경우다.

문제는 발병 이후라는 게 연구팀의 지적이다. 연구대상자 1700명의 흡연율을 보면 발병 이전 28.6%에서 16.3%로 절반도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

오히려 담배를 끊지 못하고 계속 피우거나 다시 또는 새로 피우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실제로 기존 흡연환자 486명 가운데 49.4%인 240명은 흡연을 멈추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하루에 반 갑 이상 그리고 30년 이상 흡연을 하던 사람이 지속적으로 흡연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발병 이전 금연에 성공했던 194명 중 13명(6.7%)은 다시 담배를 피웠다.

특히 비흡연자 24명의 경우 발병 이후 처음 흡연을 한 것으로 파악됐는데 이들의 경우 심혈관 질환으로 나타난 우울감이나 상실감 등으로 담배를 피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이러한 환자들이 치료 후 다시 담배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입원 기간 동안 금연 교육을 집중할 경우 금연에 성공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아진다는 기존 연구들을 근거를 기반으로 이러한 기회를 보다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신동욱 교수는 “일반적으로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같은 치명적인 혈관질환을 경험하면 건강행동에 큰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았다”며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흡연을 지속하고 있는 만큼 이들을 돌보는 의료진들이 환자들에게 지속적으로 금연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금연 치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대한금연학회 부회장인 김현숙 교수는 “최근 공단 금연치료지원사업이 외래에서 이뤄지고 있지만 암이나 심뇌혈관 질환 환자들에게는 활성화돼 있지 않다”며 “입원이나 수술은 금연의 동기가 높아지는 시기인 만큼 이를 활용한 금연프로그램 등이 개발돼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의학도서관의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에 최근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