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 진출·학술 교류 정상화 '기대'…'아직 속단 일러' 지적도

THAAD 사진. 출처는 미국 국방부.

한중 양국이 정상회담을 통한 사드(THAAD)문제 봉합에 돌입한 것과 관련, 정부와 의료계를 중심으로 중국인 환자 증가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어 주목된다.

청와대는 10월 31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11월 10~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정상회담을 한다는 내용의 한중 발표문을 공개했다.

발표 내용을 살펴보면 한‧중 양국은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 발전 궤도로 회복시켜나간다’고 명시, 해외 환자 유치 등을 포함한 민간 교류를 정상화시킬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청와대의 이같은 움직임에 그간 해외 환자 유치에 골머리를 앓고 있던 보건복지부와 의료계는 내심 가파른 환자 유입 증가와 중국 내 보건산업 진출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당장 복지부는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와 함께 중국 내 재외공관 사업을 확대, 중국 내에서의 보건의료 네트워크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중국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해 환자 유치뿐만 아니라 중국을 대상으로 한 각종 보건산업 비즈니스가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중국 환자 유치 또한 그간 밀려있던 환자 수요분을 고려한다면 확연하게 증가할 것이라는게 의료계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대한성형외과의사회 관계자는 “그간 2년 이상 사태가 진행되면서 시설‧규모‧의료진 등을 대대적으로 확충했던 많은 회원들이 힘들게 지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의사회 측에서는 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해빙 신호에 확실한 기미가 보인다면 그동안 다방면으로 준비해왔던 중국과의 카운터 파트너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의료관광사업을 펼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 중간 의료계 교류 또한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내 의사들을 대상으로 정부에서 직‧간접적으로 학술 교류를 통제했던 상황만큼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 점은 거리적인 이점을 이용, 아시아권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해온 국내 학술단체들에겐 희소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아직 사드 문제가 완전히 봉합되지 못한 상황을 고려, 아직 ‘축포’를 터트리기엔 이르다는 분석도 제기한다.

정상회담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 등 대외관계의 변수를 고려해야 하는 변수도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중국 환자 감소로 인해 제기됐던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 체질 개선 필요성’은 아직도 유효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실제로 사드보복 조치는 중국 정부가 비공식 채널을 통해 압박을 가해왔기 때문에 이번 교류관계 회복 메시지의 실제 시행 여부는 지켜봐야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