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예측하는 기술 개발…묵인희·이동영 서울의대 교수 주도

국내 연구팀이 혈액검사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 장관 유영민)는 최근 치매예측기술국책연구단 연구팀이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이전에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병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 국내기업에 기술 이전했다고 23일 밝혔다.

혈액으로 치매 예측할 수 있는 길이 열려 화제다. 해당 연구를 주도한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묵인희 교수(사진 왼쪽)과 정신과학교실 이동영 교수.

해당 신기술 개발은 서울대의과대학 생화학교실 묵인희 교수와 정신과학교실 이동영 교수가 주도했다.

알츠하이머병은 대표적인 치매 원인질환으로 만성적이고 진행성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뇌세포 손상 진행 이전 단계에서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사후 부검에 의존하거나 아밀로이드 PET라는 고가의 뇌영상검사를 이용해야 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소량의 혈액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 결과를 약 90% 수준까지 예측하는 방법으로 향후 조기검진‧예측을 통한 의료비용 절감과 사전 예방 가능성이 기대된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새로운 혈액 전처리 기술로 혈중 내 베타아밀로이드 농도를 안정화시키는 시스템을 확립해 측정의 정확도를 크게 높였다.

실제 혈액 내 아밀로이드 단백질은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만 혈액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돼 불안정한 측정치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또한 뇌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혈액 바이오마커(단백질 바이오마커 4종, 기타 혈액인자 4종)를 새롭게 발굴해 검사의 정확도를 높였다.

(A)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혈액검사만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결과를 예측함으로써 정상인이 알츠하이머병의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B)기존에 개발된 치매 진단 기술들은 대부분 인지기능이 정상인 사람들과 인지기능 저하가 이미 많이 진행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C)이에 비해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은 치매 증상을 보이지 않는 인지기능 정상인 알츠하이머병 환자도 조기에 구분해낼 수 있는 기술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묵인희 교수는 “대부분의 치매 진단 기술들이 증상이 뚜렷한 치매 환자를 구분하는 방법인데 비해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증상이 없는 정상 단계부터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차별화 된다”고 강조했다.

이동영 교수도 “최근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깃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임상시험 실패의 원인으로 대상군 진단의 정확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며 “개발된 기술을 토대로 정확한 대상군을 선별해 임상시험 성공 확률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해당 기술은 국내 치매전문 벤처기업에 3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했으며 실제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진단키트와 알고리즘 개발도 진행 중이어서 주목된다.

아울러 진단키트 개발 과제는 임상기기의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과정을 지원해주는 ‘차세대의료기기 100프로젝트 멘토링 프로그램’으로 선정돼 실용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한편, 이번 기술은 알츠하이머병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인 ‘Alzheimer Research & Therapy’등 다수의 학술지에 결과가 발표됐으며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고 해외 각국 특허 진입을 추진 중에 있다.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